고형권 기재차관 "亞 구조개혁 적절히 시행하고 디지털 혁신 도모해야"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은 15일 아시아 국가들이 구조개혁을 적절히 시행하고, 디지털화에 따른 생산성 증대를 위한 혁신을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 차관은 이날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개최된 '2017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외환위기 20년을 맞아 한국개발연구원(KDI)과 손잡고 개최한 이번 컨퍼런스에서 고 차관은 "위기는 언제나 어디에서나 사전예고 없이 다가오고, 우리에게 영향을 미쳐왔고 또한 미치게 될 것"이라며 "두 번에 걸친 금융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했지만, 다시 심한 폭풍우가 오더라도 충분히 맞설 수 있는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 차관은 여전히 세계 경제가 ▲낮은 생산성 ▲높은 금융 취약성 ▲정책여력의 감소 ▲대외 조정에서의 어려움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글로벌 금융안전망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금융안전망은 위기시 보험기능을 수행, 자금 지원과 건전한 거시경제 정책을 유인하는 기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주요20개국(G20)에서 진행 중인 관련 논의가 의미 있는 결실을 맺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로는 선진국의 통화정책이 신흥국에 미치는 영향도 충분히 인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고 차관은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 이래 선진국이 시행한 확장적 통화정책은 역사적으로 유례가 없는 것"이라며 "특히 신흥국 시장에서 변동성을 감소하기 위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세 번째로는 아시아 국가들이 구조개혁을 적절히 시행하고, 디지털화에 따른 생산성 증대를 위한 혁신을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데이터에 기반한 디지털 기술은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생활, 사업, 세계경제를 변화시킬 것"이라며 "디지털 경제가 금융시장과 거시경제 정책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연구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금융포용성을 포함한 포용적 성장 정책을 추구,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저소득 가구의 소득수준을 증가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부와 소득의 고르지 못한 배분은 세계경제 성장을 악화시킬 수 있다"며 "포용적 성장에 대한 모범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세계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위기 극복을 위한 주요 과제를 시행하는 데 국제통화기금(IMF)이 힘써달라고도 촉구했다. 고 차관은 "IMF 프로그램의 목표는 자세한 자금 지원조건 목록을 만드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위기극복을 위한 주요과제 시행에 있어야 한다"며 "지속적인 대화의 장(場)을 통해 아주 복잡하고 미묘한 사안들까지도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