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자본 한계 속 '주거래 고객' 유치 본격화

케이뱅크, 자본 한계 속 '주거래 고객' 유치 본격화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전경진 기자] 케이뱅크가 급여통장 개설 고객에게 우대금리를 적용하는 등 본격적인 주거래 고객 유치에 나섰다. 자본금 부족으로 영업 한계에 부딪치는 상황에서 '자구책'을 마련했단 지적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우대금리 최대 0.40%포인트를 지급하는 주거래 우대 정기예금 가입 고객을 모집하고 있다. 계좌 계설 후 50만원 이상 급여 이체를 하거나 3개월 이상 체크카드 사용 실적이 월20만원을 넘을 경우 우대 금리를 적용 받을 수 있다. 1년 정기예금 금리는 최대 2.20%다. 주거래 고객 모집은 케이뱅크가 중장기계획을 발표하며 제시한 전략이다. 심상훈 케이뱅크 행장은 지난달 27일 본사에서 열린 중장기 경영전략 및 사업 설명회에서 "케이뱅크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최고의 혜택을 제공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런 케이뱅크 전략에 대해 자금 여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자구책을 마련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터넷전문은행의 경우 시중은행과 차별화된 금리로 경쟁을 하는데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금리 전략'을 쓰기엔 자본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케이뱅크는 지난 7월 대출 신청자가 몰리면서 건전성 문제가 일자 '직장인K 신용대출' 상품 판매를 일시 중단했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업을 제대로 영위하는데 통상 1조원 이상의 자본이 필요하다고 본다"며 "1000억원 증자에서도 일부 주주가 참여하지 않는 등 부침을 겪었던 케이뱅크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높은 예금금리와 낮은 대출금리의 영업을 지속하긴 어려웠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케이뱅크는 자본금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1500억원 추가 증자를 준비 중이다. 2차 증자까지 완료되면 케이뱅크의 자본금은 5000억원이 된다. 하지만 경쟁업체인 카카오뱅크의 자본금 8000억원엔 미치지 못한 규모다.

실제 상대적으로 자본 여력이 있는 카카오뱅크의 경우 '주거래 고객 유치' 전략을 취하고 있지 않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특정 상품 가입시 옵션 형식으로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1년 만기 자유적금 가입 때 자동이체 옵션을 선택하면 0.20%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주는 식이다.

업계에선 케이뱅크 설립을 주도한 KT가 은산분리 규정에 막혀 케이뱅크 유상증자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못해 향후 자본 부족 문제가 재발할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특히 케이뱅크 인허가 특혜 논란까지 일면서 케이뱅크 입장에선 은산분리 완화 요청을 적극적으로 제기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인터넷전문은행이 업계 '메기'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은산분리가 완화되지 않은 채 자본금 부족문제가 계속된다면 메기 역할에도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경진 기자 kj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