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평창 동계올림픽 앞두고 'AI 특별방역' 실시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 정부가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조류인플루엔자(AI)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방역취약 농가 등에 특별방역을 실시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7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AI 방역 종합대책'을 확정, 철새가 도래하는 오는 10월부터 내년 2월까지 특별방역을 추진키로 했다. AI는 지난 2003년 최초로 발생한 이후 2014년부터 매년, 계절에 상관없이 발생하고 있다. 가금 농장 등 철새 이동 경로인 서해안에 집중돼 있는 데다 시설이 열악해 AI 차단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철새와 국내외 출입국자가 증가하면서 AI 유입 가능성이 더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우선 방역취약 농가(1538호)에 지자체 전담공무원(584명)을 지정해 월 1회 현장을 점검한다. 전업규모 산란계 토종닭 오리 등 농가(2498호)의 경우 농식품부 주관 담당자(443)가 매일 전화를 통해 확인하고 일주일에 한 번 현장을 점검한다.

가축거래상이 취급하는 모든 가금류에 대해서는 이동 전 사전 AI 검사는 물론 도축장에서도 샘플 채취 후 임상 관찰하는 방식으로 AI 검사가 매일 실시된다.전통시장 내 가금판매소(분기 1회)와 가든형 식당에서 판매하는 가금(오리는 분기 1회, 닭은 연 1회)도 정기적인 AI 검사가 실시되며, 농장에서 도축장 외 다른 곳으로 출하하는 모든 가금은 사전 AI 검사 및 이동승인서 발급·휴대가 의무화한다.

정부는 또 5139개의 전업규모의 농장에 CCTV설치를 지원한다. 우선 평창동계올림픽이 열리는 강원도와 인접 지역인 경기북부 지역에 CCTV를 우선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발생농가는 살처분 보상금을 80%만 지급하고 있으나 방역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AI가 발생한 농장에는 보상금을 100% 지급하는 방안도 마련된다.

아울러 정부는 국내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될 때에도 주의 경보를 발령토록 발령 기준을 추가하고 국내·외 철새 이동과 분포 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