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치 않은 추석 물가…정부 '추석 성수품' 일제 점검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 폭염·폭우 여파로 '식탁 물가'는 폭등하는데 국민 소득은 9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서는 등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다. 치솟는 물가가 소비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정부는 추석을 앞두고 '성수품' 일제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전국가구 기준 가계소득(2인 이상·명목)은 434만6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0.9% 증가했다. 하지만 물가를 감안한 실질소득은 월평균 423만원으로 1년 전보다 오히려 0.97% 감소했다. 월평균 소득은 늘었지만 실제 손에 쥐는 돈은 줄어든 셈이다.실제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2분기 국민소득'에 따르면 지난 2·4분기 실질국민총소득(GNI)은 전 분기보다 0.6% 감소해 9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는 2010년 3·4분기(-1.7%) 이후 가장 감소폭이 컸다. GNI는 한 나라 국민이 일정 기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등의 소득을 합친 것이다.

벌이는 줄고 있는데 채솟값 등 먹거리 물가는 치솟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동월대비 2.6% 상승했다. 2012년 4월(2.6%) 이후 가장 상승폭이 컸다. 생활물가는 3.7% 뛰며 2011년 12월(4.4%)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폭염과 폭우가 잇따라 겹치면서 채소류 가격이 22.5% 급등하며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채소와 과일값이 폭등하면서 신선식품지수 역시 전년동월대비 18.3% 상승했다. 특히 배추 도매가격(1일기준)은 1포기 6068원으로, 평년 2배 수준으로 올랐다.

체감물가지표인 생활물가와 신선식품 지수가 일제히 오르며 소비 심리 악화로 내수 경제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미 소비자심리지수는 뒷걸음질쳤다. 8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9.9로 7월보다 1.3포인트 하락하며 7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정부는 추석을 앞두고 먹거리 물가가 심상치 않자 추석 성수품의 위생관리 실태와 원산지 표시 위반행위를 집중 점검하기로 했다. 이달 29일까지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 소비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판매업체 총 2만3000여곳을 단속하기로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관세청 및 전국 17개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하며 소비자감시원 4200여명이 단속에 참여한다.

농식품부는 "추석을 맞아 수요가 급증하고 국내산과 외국산의 가격차이가 큰 농축수산물에 대해 국내산으로 속여 팔지 못하도록 원산지 부정유통이 많은 품목을 중심으로 원산지 표시 위반여부를 강력히 단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