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취업학 개론]①블라인드 채용에 취준생도 '블라인드' 신세

블라인드 채용 확대되고 있지만 역차별 논란 등 혼란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원본보기 아이콘

최근 공공부문을 시작으로 도입된 '블라인드 채용'이 일반 기업으로도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껏 이른바 '스펙' 쌓기에 몰두해온 취업준비생들 사이에서는 블라인드 채용 준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어떻게 블라인드 채용에서 중시하는 업무 능력이나 열정 등을 입증해야 하는지 사실상 '블라인드' 신세라는 하소연이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행정안전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7월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8월부터 지방공기업, 9월부터는 지방 출연·출자기관이 각각 블라인드 채용을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블라인드 채용은 학력·출신학교·지역·신체조건·가족관계·사진 등의 신상정보를 채용 서류에 적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다. 면접 과정에서도 이를 물을 수 없다. 채용에서 학교·지역·외모 등에 따른 차별을 없애겠다는 취지인 셈이다. 이 같은 정부 방침에 따라 일반 기업들도 블라인드 채용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다. 30일 대졸 신입사원 채용 서류접수를 시작한 포스코그룹 6개사는 자기소개서와 면접전형을 블라인드 형식으로 진행한다. KT그룹도 상반기부터 입사지원서의 사진 항목을 없앤 데 이어 하반기에는 발표 형식의 'KT 스타오디션'을 확대할 계획이다.

현대차도 블라인드 채용 프로그램인 '힌트(H-INT)'를 10월 도입하기로 했고 기아차는 지원자의 신상과 학력 등을 보지 않는 상태에서 면접을 진행하기로 했다. 카카오도 최근 실시하는 신입사원 공채에서 학력·성별·나이·경력 등을 가린 '블라인드' 전형을 한다.

하지만 이 같은 흐름에도 불구하고 도입 초기인 블라인드 채용과 관련한 잡음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블라인드 채용 기준이 공공기관 별로 차이가 있어 취업준비생들이 혼선을 빚기도 하고 그동안 스펙을 쌓는 데 시간과 돈을 투자했던 이들 사이에선 역차별이라는 반발의 목소리도 있다. 대학이 취업을 준비하는 곳이라는 풍조가 만연하다보니 "취업할 때 학교를 안 보면 굳이 좋은 대학 갈 필요 없는 것 아니냐"는 자조 섞인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이에 29일 이낙연 국무총리는 "충분한 예고 없이 공공기관 블라인드채용 절차를 진행해 그동안 스펙을 쌓으려고 고생했던 사람들이 역차별을 받는다고 하소연하고 있다"며 "그런 피해의식이 없도록 다양한 방안을 고민해 달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