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하겠다”는 장하성 실장에 트럼프 대통령 “오, 와튼스쿨!”

靑이 공개한 한미정상회담 '비하인드 스토리'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 시간) 정상회담을 가진 뒤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한미공동언론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워싱턴=황진영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 시간) 정상회담을 가진 뒤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한미공동언론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워싱턴=황진영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황진영 기자, 이민찬 기자] 청와대가 3일 한미정상회담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공개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단독 정상회담에 이어 양측 배석자들이 참석하는 확대 정상회담을 잇달아 가졌다. 확대 정상회담에 배석한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확대 정상회담에서 있었던 일을 공개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회담 초반 분위기를 주도한 것은 미국 측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두 가지 이야기를 하겠다. 북한 문제와 무역문제인데, 북한 문제는 이미 심도 깊은 대화를 나눴고 무역 문제는 미국과 한국에서 공정한 무역협정이 돼야 한다”고 운을 띄우면서 확대정상회담이 통상문제에 집중되도록 분위기를 잡아갔다고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FTA 이후 미국의 대 한국 적자가 두 배 이상 증가했다”며 “자동차, 철강 분야가 적자의 주원인”이라고 지적하면서 우리 측 대표단을 강하게 압박하기 시작했다.

문 대통령이 “한미FTA는 양국간 호혜적인 것으로 문제가 있다면 실무협의 해나가면 된다”고 응수하면서 회담장에 긴장감이 감돌기 시작했다.

미국 측에서 배석한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윌버 로스 상무장관.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 등이 교대로 나서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 기조를 구체화하고 반복하면서 압박을 가했다.

이런 분위기가 지속되자 문 대통령이 “한국 새 정부는 원자력과 석탄화력으로부터 LNG로 에너지 정책 전환을 이미 천명했고 필요한 LNG를 미국이 공급할 수 있다. 미국이 좋은 조건만 맞추면 가능한 일이다”고 이야기하면서 미국 측을 달랬다.

문 대통령은 이어 “FTA 규정이 불합리한 것이지 아니면 이 규정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기 때문인지 제대로 스터디 해봐야 한다. 양국 실무진으로 공동조사단을 구성해서 양국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서 분석하자”고 역제안을 했다.

문 대통령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 중 언급한 한국의 안보 무임승차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미국만큼은 아니지만 GDP 대비 가장 높은 비용을 지출하는 동맹국”이라면서 “미국의 최대 무기 수입국이며 주한미군의 주둔 부지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매티스 국방장관도 한국에 와봤지만 무려 450만평에 달하는 평택기지는 가장 첨단적으로 건설되고 있고 이 소요비용 100억불을 전액 한국이 부담하고 있다”면서 역공에 나섰다.

김현철 경제보좌관은 윌버 로스 상무장관과 한미 무역 불균형을 놓고 치열한 설전을 벌였다.

달아오른 회담장의 분위기를 바꾼 것은 장하성 정책실장이 던진 한 마디였다. 통역을 거쳐서 이야기를 하던 장 실장이 “영어로 말 하겠다”고 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오, 와튼스쿨! 똑똑한 분“이라고 농담을 던져 장내에 웃음이 터졌다.

장 실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펜실베이니아대 경영대학원인 ‘와튼스쿨’ 동문이다. 장 실장은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트럼프 대통령은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장 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늦었지만 대통령 당선을 축하한다”고 인사를 한 후에 “제 저서가 중국에서 출판될 예정이었는데 사드 때문인지 중단됐다”고 농담을 건넸다.

로스 상무장관이 “그러면 미국에서 영어로 출판하라고 제안”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장 실장의 책이 미국서 번역돼 출판되면 미국의 무역적자 폭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응수해 회담장에 다시 웃음이 터져 나왔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나도 상호 호혜성을 상당히 좋아한다. 이번에 문 대통령과 좋은 친구가 돼 참 감사하다. 더 많은 성공을 바란다”고 말하자 분위기가 한결 부드러워졌다고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안보나 남북관계 있어 실리를 얻은 반면 경제 문제를 압박당하고 대화에서도 미국이 일방적으로 몰아붙인 게 아니냐는 분석 기사와 질문 있어서 절대 그렇지 않다고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황진영 기자 young@asiae.co.kr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