뮬러 특검, '트럼프 사법방해' 정조준…"수사 전환점"

WP "특검, 트럼프 대통령 사법방해죄 여부 조사하며 수사 확대"
정보기관 수장들 불러 트럼프 외압·부적절 개입 확인 계획
뮬러, 조사 내용 충돌 우려해 의회와도 사전 조율


(사진=EPA연합뉴스)

(사진=EPA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혜영 기자] 러시아 스캔들을 조사 중인 로버트 뮬러 특검팀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법방해(obstruction of justice)' 의혹에 대한 본격 조사에 착수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익명의 관계자들을 인용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뮬러 특검팀은 이를 위해 대니얼 코츠 국가정보국(DNI) 국장과 마이크 로저스 국가안보국(NSA) 국장, 러처드 레짓 전 NSA 부국장에 대한 조사를 이번주부터 진행할 계획이다.

앞서 WP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임스 코미 전 미 연방수사국(FBI) 국장을 포함해 다른 정보기관 수장들에게도 자신이 러시아 내통 의혹과 관련한 수사 대상이 아니라고 공개적으로 발표할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당사자들은 특검 조사 여부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지만 NSA는 이날 성명을 통해 "특검에 전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에서는 증인이나 배심원에 대한 협박, 수사기관이나 법원에 허위 진술 또는 자료를 제출한 경우 사법방해죄를 적용하며 중범죄로 다루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사법방해죄가 사실로 드러나면 탄핵 사유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사법방해 혐의에 대한 특검의 수사 착수 여부와 방향에 관심이 집중됐었다. WP와 CNN방송은 뮬러 특검팀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사법방해 의혹으로 수사 범위를 확대하면서 러시아의 미 대선개입과 트럼프 대선 캠프의 러시아 유착 의혹 관련 수사가 전환점을 맞게 됐다고 평가했다.

뮬러 특검이 트럼프 대통령을 정조준하고 나선 것은 지난 8일 이뤄진 코미 전 국장의 의회 증언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코미 전 국장은 "러시아의 대선 개입 여부에 대한 FBI수사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마이클 플린 전 국가안보보좌관에 대한 수사 중단을 요청했고 충성 맹세를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수사를 확대하고 있는 뮬러 특검은 의회 조사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전날 상원 정보위원회 위원장인 리처드 버 공화당 의원과 민주당 소속의 마크 워너 부위원장을 만나 내용을 조율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 측 변호인은 "FBI의 정보 유출은 충격적이고 용서할 수 없다"며 "불법적인 행위"라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이혜영 기자 itsm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