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수도권 클라우드 강화…'서울-M2존' 오픈

목동 CDC2센터에 기업전용 클라우드존
사업별 특성에 최적화된 서비스 제공


[아시아경제 김동표 기자]KT는 "서울 목동 CDC(Cloud Data Center) 2센터에 기업전용 클라우드Zone인 '서울-M2존(Seoul-M2 Zone)'을 신규 구축했다"고 17일 밝혔다.국내 최초로 클라우드 본고장인 미국에서 독자적인 글로벌 데이터 센터를 구축한 바 있는 KT는 지금까지 천안/김해CDC와 서울 목동CDC1센터, 미국 LACDC까지 총4개 지역, 6개 멀티존(Multi-Zone)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국내 1위 클라우드 사업자인 KT가 서울 목동 CDC(Cloud Data Center) 2센터에 기업전용 클라우드Zone인 '서울-M2존'(Seoul-M2 Zone)'을 구축하고 수도권내 기업전용 클라우드 서비스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KT 직원들이 목동 CDC2센터에서 '서울-M2'존을 알리고 있는 모습.

국내 1위 클라우드 사업자인 KT가 서울 목동 CDC(Cloud Data Center) 2센터에 기업전용 클라우드Zone인 '서울-M2존'(Seoul-M2 Zone)'을 구축하고 수도권내 기업전용 클라우드 서비스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KT 직원들이 목동 CDC2센터에서 '서울-M2'존을 알리고 있는 모습.

원본보기 아이콘

KT는 목동 CDC 2센터의 '서울-M2존'까지 추가 구축하면서 총 5개 CDC를 기반으로 7개의 기업전용 멀티존을 운영하게 됐다.

이번 '서울-M2존'은 빠르게 변하는 IT 산업에 부응하기 위해 기업 고객들이 지금보다 더 높은 성능의 IT 인프라를 요구하면서 이루어졌다. '서울-M2존'은 다수 기업의 본사가 집중되어 있는 수도권 내에 구축했으며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와는 차별화된 고성능, 고사양 서버로 고도화했다.최신 CPU와 기본 SSD(Solid State Drive) 스토리지를 적용하고 컴퓨팅(Computing), 스토리지(Storage), 보안(Security)서비스 라인업을 대폭 확대해 상품별 연계성도 강화했다. 이로써 금융, 의료, 교육, 미디어, 제조 등 산업별로 최적화한 맞춤형 클라우드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게 됐다.

KT는 올 상반기 안에목동 CDC 1센터, 2센터 및 여의도 IDC를 중심으로 DCI(Data Center Interconnect) 기술도 적용한다. DCI는 전산시스템이 단일 네트워크로 운영 가능하도록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데이터 센터를 상호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DCI 기술이 적용되면 기업 고객들은 IDC와 클라우드 등 여러 곳에 분산된 IT 인프라를 손쉽고 경제적으로 연동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인프라 운용이 가능해 진다. 하반기에는 광역 네트워크 구성으로 전국적인 서비스로 확대할 예정이다.

한편, KT는 오늘부터 '서울-M2존'의 클라우드 서버(VM) 이용 가격도 대폭 인하한다. 이로써 '서울-M2존' 이용고객이라면 누구나 클라우드 인프라를 글로벌 사업자 대비 최대 18%까지 절감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