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BMW…얼어붙었던 소비 4개월만에 '꿈틀'(종합)

▲2월 산업활동동향 [자료 =통계청]

▲2월 산업활동동향 [자료 =통계청]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얼어붙었던 소비가 4개월만에 꿈틀대기 시작했다. 면세점과 신차판매 효과로 2월 소매판매가 증가하면서다. 산업생산과 투자는 그동안의 호황에 따른 기저효과로 감소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3.2% 증가했다. 지난해 10월(4.2%) 이후 계속 전월대비 하락했던 소비가 4개월만에 상승 반전한 것이다. 화장품 등 비내구재(3.1%), 승용차 등 내구재(3.4%), 의복 등 준내구재(3.3%) 판매가 모두 늘었다.

면세점이 상승세를 견인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통계국장은 "중국 개인매매대리상이 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배치 보복조치에 대비해 물량을 미리 사들이면서 면세점 판매가 급격하게 늘었다"며 "특히 화장품과 가방 등의 판매가 늘면서 지난달 면세점의 경상판매액은 1조2500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신차와 기저효과도 매출 증가세에 영향을 미쳤다. 안 국장은 "BMW의 신차가 나오면서 신차판매가 늘었다"며 "그동안 소비가 너무 안 좋았다보니 기저효가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전년동월대비 기준으로도 소매판매는 승용차 등 내구재(7.5%) 판매가 늘면서 0.5% 증가했다. 소매업태별로는 무점포소매(17.2%), 편의점(13.2%) 등이 전년 동월대비 증가했으나 슈퍼마켓(-10.4%), 백화점(-5.6%) 등은 감소했다.

전산업생산은 광공업생산 부진으로 인해 전월 대비 0.4% 감소했다.

광공업생산은 전월 대비 3.4% 감소하며 전체 전산업생산을 1.12%포인트 끌어내렸다. 컴퓨터(10.1%) 등에서는 증가했으나, 반도체가 11.5%, 자동차가 6.1% 감소했기때문이다. 어운선 통계청 산업동향과 과장은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이 판매둔화로 인해 재고관리에 들어가면서 생산이 줄어든 것"이라고 말했다.

서비스업생산은 도소매(1.5%)와 금융·보험(1.3%) 등에서 늘면서 전월 대비 0.1% 증가했다.

설비투자 역시 기계류(-8.5%), 운송장비(-9.9%) 투자가 모두 줄면서 전월 대비 8.9% 감소했다. 박병선 통계청 사무관은 "삼성 평택 반도체 투자가 늘면서 지난해 11~1월까지 반도체 제조장비 투자가 늘었는데, (이번 달은) 이에 따른 기저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건설기성은 건축(5.2%) 및 토목(15.1%) 공사 실적이 모두 늘면서 전월 대비 7.8% 증가했다. 건설수주는 건축에서 감소했으나 발전·통신·항만 등 토목(171.2%)에서 늘면서 전년동월대비 22.6% 증가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내수출하지수, 광공업생산지수 등이 감소했으나 서비스업생산지수, 건설기성액 등이 증가하며 전월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미래 경기를 나타내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수출입물가비율이 감소했으나 기계류내수출하지수, 건설수주액 등이 증가하며 전월대비 0.2포인트 상승했다.

기획재정부는 "수출 개선세 지속, 경제심리 반등 등 긍정적 회복신호가 증가하고 있으나 통상현안과 미국 금리인상 속도 등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며 "대내외 리스크 요인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적극적 거시정책과 부문별 활력제고 등을 통해 경제회복과 민생안정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