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불사 대우조선]정성립 "월급 전액 반납"…직원들 고통분담 호소

전 직원 임금 10% 반납 관철시키려…정성립 사장 無급여 선언
"이번 위기는 2015년과 달라…자구계획만 이행하면 작지만 탄탄해질 것"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이 임직원 급여 추가 삭감을 앞두고 자신부터 월급을 안받겠다고 밝혔다. 정 사장은 29일 오전 사내방송을 통해 "외부에서는 우리를 혈세 먹는 하마라고 한다. 우리 스스로 고통분담을 위해 먼저 움직여야 한다"며 "임직원들에게 추가 고통분담을 간청하기에 앞서 나부터 급여 전액을 반납하겠다"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 채권단은 지난 23일 대우조선해양 신규 지원을 결정하면서 무쟁의·무분규 지속, 전 직원 임금 10% 반납을 포함한 총액 인건비 25% 감축을 요구했다. 임금삭감에 대해 노동조합 측과 논란이 일기 전에 정 사장 스스로 먼저 고통분담을 하겠다고 선언 한 셈이다. 정 사장은 2015년 5월 취임 이후 그 해 9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임금의 20%, 지난해 7월부터 현재까지 30%를 반납해왔다. 정 사장은 "이번에 대주주와 채권단이 계획하고 있는 2조9000억원 추가지원의 전제조건은 우리 자신을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손실분담"이라며 "만약 법정관리와 같은 P플랜이 추진되면 인력·설비 감축 등 보다 강제적이고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실행된다면 건조 계약 취소 등 회사의 생존 여부를 알 수 없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 사장은 "대주주와 채권단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은 자구계획의 철저한 이행과 추가 고통분담"이라며 "임금 반납 등은 개개인에게 있어 결코 쉬운 일이 아님을 알고 있기 때문에 진심을 담아 호소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올해 최대 3조원의 자금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난해 수주가 15억달러에 그쳐 선수금 입금이 턱없이 부족했고 이미 건조를 마친 드릴십은 인도가 안 돼 돈이 들어오지 않았으며, 올해 건조되는 선박 대부분은 계약 금액의 60% 이상이 선박 인도시 지급되는 헤비테일 계약으로 원가 투입과 수금 시점이 불일치해 건조 자금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유동성 위기는 2018년 말에야 해소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정 사장은 "다행히 자금 부족은 9월까지 증가하다가 선박이 인도되면서 차차 감소하기 시작해 내년 말에는 균형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 2015년에 4조 2000억원을 지원받을 시에는 회사 자체 부실이 문제였다면 지금은 단기적인 유동성 문제가 주요 원인"이라며 "이 고비만 넘기고 자구계획을 성실히 이행한다면 우리 회사는 흑자 전환해 규모는 작아졌지만 단단한 회사로 재탄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사장은 "이번 추가지원이 이뤄질 경우 우리 회사의 모습은 부채비율은 300% 이하로 대폭 개선되고 수익성 높은 LNG선과 경쟁력 있는 특수선 건조를 통해 흑자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지금은 어두운 터널에서 빠져 나와 희망으로 나아갈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므로 우리 모두 사생결단의 각오가 필요하다"고 직원들에게 당부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