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테이트, 국제학술 심포지엄 개최

‘테이트 리서치 센터: 아시아’ 공동주최
1989년 이후 정치·경제적 격변한 아시아 미술 주목
4일-5일, 현대미술관 서울관 멀티프로젝트홀

국립현대미술관-테이트, 국제학술 심포지엄 개최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세영 기자] 국립현대미술관은 ‘테이트 리서치 센터: 아시아’와 공동주최로 한 심포지엄을 내달 4일부터 5일까지 서울관 멀티프로젝트홀에서 연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립현대미술관이 ‘테이트 리서치 센터: 아시아’와 공동기획 및 주최하는 첫 학술행사다. 1989년 이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각국의 미술이 정치·경제적 격변 속에서 겪었던 예술적 변화에 주목한다. 이분법적 냉전 이데올로기에 대한 질문 혹은 민주화 운동과 그에 얽힌 난관 그리고 경제 성장 및 세계화가 미술에 끼친 영향 등을 강연 주제로 한다. 또한 국제무대에서 비서구 미술이 전시의 중심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상황과 아시아 미술에서 신세대 및 여성주의 미술이 성장하기 시작한 측면을 분석한다.

심포지엄 제목은 ‘분열된 영토들: 1989년 이후 아시아 미술’으로 총 세 가지 섹션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섹션 ‘전시의 역사와 그 이면’은 세계 곳곳의 미술 기관들이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를 걸쳐 비서구 미술을 대안적 서사로 재현하기 시작한 정황을 분석한다. 아시아 내에서 어떤 방식으로 동시대 미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등장했는지 진단한다. 두 번째 섹션 ‘새로운 세대의 출현’은 한국, 일본, 인도, 파키스탄에서 등장하기 시작한 새로운 세대 작가들에 주목한다. 1990년대 신진 작가들이 보여준 감수성과 그 전달 방식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마지막 세 번째 섹션 ‘탈식민주의적 조건’은 필리핀, 인도네시아, 인도 미술에 등장하는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이슈를 다룬다. 아시아 미술에서 식민주의 잔재와 이에 대한 극복이 미술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토론한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이불 작가와 트린 T. 민하 작가가 기조연설을 맡았으며, 패트릭 D. 플로리스 필리핀 국립대학교 미술이론대학 교수 (Patrick D. Flores), 마크 프란시스 큐레이터 (Mark Francis, Curator), 카린 지제비츠 미시건 주립대학교 미술사 및 시각문화 부교수 (Karin Zitzewitz), 지티쉬 칼랏 작가 (Jitish Kallat), 우정아 미술사학 박사 등 교수, 큐레이터, 미술사학자 및 작가 16인이 참여한다.

오는 30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신청(선착순 마감)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잔여석 발생 시 당일 현장 참여도 가능하다. 자세한 정보는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세영 기자 ksy123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