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wC, 한국 경제 순위 2016년 13위→2050년 18위 하락 전망

구매력평가지수 기준 국가별 국내총생산전망

구매력평가지수 기준 국가별 국내총생산전망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구매력 평가지수 기준 한국의 경제 순위가 지난해 세계 13위에서 2050년 18위로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나이지리아, 이집트, 파키스탄 등보다 낮아질 것이란 진단이다.

7일 컨설팅업체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가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85%를 차지하는 32개 국가의 잠재적 GDP 성장률 전망을 토대로 작성한 ‘2050 세계경제 장기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50년까지 세계 경제가 매년 2.5%의 평균성장률을 보이며 2042년이 되면 그 규모가 지금의 두 배 수준이 될 것으로 진단됐다.가장 큰 특징은 선진 경제권에서 신흥 경제권으로의 경제력 이동추세가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이라는데 있다.

보고서는 2016~2050년 7개의 신흥 경제국(E7:브라질,중국,인도,인도네시아,멕시코,러시아,터키)이 평균 3.5%의 성장률을 보이며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데 비해 캐나다,프랑스,독일,이탈리아,일본,영국,미국의 G7 국가들의 평균 경제성장률은 1.6%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 순위 역시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성장률의 관점에서 보면 베트남,인도,방글라데시가 연 평균 5%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50년까지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나라로 지목됐다. 2050년 중국의 GDP가 부동의 1위를 기록하고 인도가 미국(3위)을 앞질러 2위에, 인도네시아가 일본(8위), 독일(9위)과 같은 선진국을 앞질러 4위에 오를 것으로 진단됐다.

한국의 경우 GDP 순위가 2016년 13위에서 2030년 14위, 2050년 18위로 다소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존 혹스워드 PwC 선임 경제학자는 “신흥 경제국으로의 세계 경제력 이동은 장기적으로 지속되면서, 2050년이 되면 E7 국가가 세계 GDP의 50% 이상을 차지하게 되고, G7 국가는 20% 미만으로 줄어들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다수 신흥 경제국의 성장은 타 지역에 비해 빠른 인구 증가율로 인해 내수경제 규모가 커지고 가용노동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에 영향을 받게 된다"며 "그러나 이러한 전망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육에 대한 투자와 거시경제 기본상황에 대한 개선을 통해 이 지역 젊은이들에게 충분한 일자리가 제공된다는 전제조건이 해결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