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런보다 트럼프…6월 돼야 금리 올릴 것"

[아시아경제 박철응 기자]당분간 금융시장은 옐런보다 트럼프의 발언과 정책에 주목할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상반기 중 오는 6월 한 차례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많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일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에 큰 변화가 없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는 1일(현지시간)까지 이틀간 열린 통화정책회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금리를 현행 0.5∼0.75%로 유지하기로 했다.

연준은 경기 확장 기조는 유지되지만 기업의 고정투자가 미약하고 물가 압력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본다는 게 박 연구원의 설명이다. 추가 금리 인상은 5월이나 6월 한 차례에 그칠 공산이 높은 것으로 봤다. 상반기 중 FOMC 회의는 3월(14~15일), 5월(2~3일), 6월(13~14일)에 열릴 예정이다.

박 연구원은 “보호무역주의와 환율 문제가 금융시장의 주된 관심사가 될 것”이라며 “이미 달러화 강세 우려 발언을 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 중국, 독일 등 전세계 주요국 통화가치 절하를 강하게 비난하면서 소위 환율전쟁 격화 가능성을 예고하고 나섰다”고 전했다.

오는 4월로 예상되는 미 재무부의 환율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환율조작국 지정 이슈가 쟁점으로 부상할 여지가 높다고 봤다. 지난해 중국, 독일, 일본, 한국, 대만, 스위스 등이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된 바 있다. 박 연구원은 “환율조작국 지정 요건에 따르면 관찰대상 국가가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은 낮지만, 트럼프 정부의 강경 보호무역주의 성향을 감안할 때 일부 국가의 환율조작국 지정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했다.

다만 달러화 약세 기조가 유지된다면 유가 등 원자재 가격의 하방경직성 강화 내지 추가 상승을 예상할 수 있다고 했다.

소재용 하나금융투자 연구원도 “연준의 금리 인상 의지는 분명하더라도 현실적으로는 6월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연준 역시 재정정책이 저성장을 탈피하는 원동력이라는 점을 인정하고 있지만, 자칫 트럼프의 과도한 재정적자로 인해 자신들의 통화정책이 제약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고 있을 듯하다”고 분석했다.

최근 시장에서 흘러나오는 연준의 대차대조표 축소 논의 역시 트럼프의 부채 남발을 경고하려는 의도가 다분해 보인다는 것이다.

소 연구원은 “문제는 의회가 부채 한도를 조정하는 3월 중반까지는 이에 대한 충분한 답을 얻기 어렵다는 점”이라며 “공교롭게도 3월 FOMC와 겹치는 시기인 만큼 현실적으로는 6월에나 금리인상이 가능해 보인다”고 했다.




박철응 기자 her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