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알은 없다③]승승장구 화장품, 사드보복에 주춤

중국 의존도 최대 20%…리스크에 불안감 팽배
방한 관광객수 감소에 따라 면세점 매출 감소 불가피
업계 "무리한 예측"

22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신세계면세점 명동점 내 모습.

22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신세계면세점 명동점 내 모습.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조호윤 기자]화장품업계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 중이지만 표정이 밝지 못하다. 갈수록 높아지는 중국 의존도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는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와 관련해 중국이 경제 보복을 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진 상황이다.

2일 관련업계와 HMC투자증권에 따르면 국내 화장품업계 1~2위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 매출 중 면세점 채널 비중은 각각 20%, 1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LG생활건강의 중국 시장 의존도는 5.5%로, 대 중국 의존도는 22.5%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HMC투자증권은 최근 중국인 관광객(요우커) 효과가 약해지는 시장 상황을 반영해 화장품 부문의 성장률이 낮아질 것으로 예측, LG생활건강의 목표주가를 128만원에서 99만원으로 조정했다.

KTB투자증권도 비슷한 분석을 내놨다. 중국이 한국행 전세기 운항을 불허하면서 방한 요우커 수와 직결된 면세점 매출이 급락할 것이기 때문이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최대 20%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실제 방한 요우커 수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중국 최대 명절 '춘절'(1월27일~2월2일)기간 항공편과 크루즈선으로 제주도를 방문하는 요우커의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6% 가량 감소한 4만2880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화장품업계는 무리한 예측이라는 입장이다. 한 업계관계자는 "중국의 경제보복으로 인해 피해가 있을 것이라는 것은 예측일 뿐"이라며 "실제 현장에서도 그러한 징후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LG생활건강은 지난해 4분기 매출 1조4573억원, 영업이익 1779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9.7%, 20.7% 성장하며 사상 최대 4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사드로 불거진 다양한 불확실성과 역풍에도 불구하고, 화장품의 성장이 지속돼 4분기 매출은 14.2% 성장한 7976억원, 영업이익은 23.1% 증가한 1367억원의 건실한 실적을 달성했다.




조호윤 기자 hod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