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KTX광명역까지 15분…'광명~사당역 셔틀버스' 타보니

11일 오전 5시 정식운행 시작
출퇴근 시간대 5분 간격 운행


10일 오후 사당역 4번출구 인근에 위치한 정류장에서 사람들이 광명역행 KTX셔틀버스를 타고 있다.

10일 오후 사당역 4번출구 인근에 위치한 정류장에서 사람들이 광명역행 KTX셔틀버스를 타고 있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지금까지는 사당역에서 KTX광명역까지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해 이동했는데 앞으론 셔틀버스를 이용해야겠어요. 15분 만에 이동 가능하고 마일리지 적립하면 셔틀버스를 공짜로 타는 셈이더라고요."40대 회사원 강모씨는 적어도 1주일에 한 번 부산행 KTX를 타기위해 광명역을 찾는다. 그동안은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해 사당역에서 광명역으로 이동했다. 보통 50여분이 걸렸다고 했다. 하지만 앞으로 KTX셔틀버스를 이용하면 이동시간이 15~20분으로 줄어든다.

10일 오후 '8507번'이 사당역 4번 출구에서 승객 15명을 태우고 광명역으로 출발했다. 지난 8일부터 사흘간 시범 운행되는 KTX셔틀버스다. 코레일은 올 하반기에는 하루 평균 2000여명이, 하반기에는 3000여명 이상이 셔틀버스를 이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씨는 "셔틀버스가 시범 운행된다기에 처음 탔는데 소요시간과 요금 모두 만족스럽다"며 "앞으로 셔틀버스를 자주 이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이 셔틀은 총 17㎞ 거리를 중간 정차 없이 약 15∼20분 만에 이동한다. 이날 오후 2시 정각에 출발한 셔틀버스는 정확히 15분 만에 광명역에 도착했다.

다만 출퇴근 시간대는 시간이 10여분 더 걸린다. 8일부터 시범 운행되고 있는 셔틀버스를 3~4차례 이용했다는 박모씨는 "출근하기 위해 광명역에서 셔틀버스를 탔는데 차가 밀려 사당IC에서 사당역까지 10분이 걸렸다"며 "출퇴근 시간대에는 25분 이상이 걸리기 때문에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타야할 것 같다"고 말했다.

광명역은 경부선과 호남선 등 전 노선의 KTX를 모두 이용할 수 있고, 주중 171회·주말 192회 등 국내에서 고속열차가 가장 많이 정차한다. 하지만 연계 교통 수단이 부족해 이용객이 예상보다 적은 상황이다. KTX셔틀버스 운행은 광명역 활성화 대책의 첫 단추 인셈이다.

정식 운행은 11일 오전 5시부터 시작된다. 출발지 기준으로 광명역의 경우 첫차는 오전 5시, 막차는 밤 12시다. 사당역 첫차는 5시5분, 막차는 밤 12시5분이다.

광명역행은 사당역 4번 출구 앞 정류장에서 출발, 광명역 서편 셔틀버스 전용 정류장(지하 1층)에서 하차한다. 이곳에서 전용통로를 이용하면 3분 만에 KTX 승강장에 닿을 수 있다.

코레일은 KTX셔틀버스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광명역 정류장에 전용라운지를 설치했다. 사당역 정류장에는 올해 안에 고객라운지를 마련할 계획이다.

운임은 교통카드를 이용하면 2400원(현금 2500원)이다. 지하철 등 대중교통 환승 할인이 적용되기 때문에 2호선 강남역에서 출발해 사당역에서 셔틀버스를 타고 광명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요금도 2400원으로 같다.

코레일은 셔틀버스 이용자가 KTX를 탈 경우 올해 말까지 철도 여행 애플리케이션 '코레일톡'을 통해 1000점의 마일리지를 추가로 제공한다. 마일리지까지 고려하면 셔틀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더 유리한 셈이다. 단 마일리지 적립은 KTX셔틀버스 안에서만 가능하다. 또 광명역 이용 시 서울역에서 출발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것보다 약 20∼30분 빠르고, KTX 운임이 2100원 저렴한 것도 장점이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