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 시장 7년만에 역성장… 벤츠 첫 1위(종합)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고속 성장을 이어오던 수입차 업계가 7년만에 역성장을 맞았다. 디젤게이트 역풍으로 폭스바겐과 아우디의 판매량이 급감한 결과다.

5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판매된 수입차는 총 22만5279대로 전년대비(24만3900대) 7.6% 줄었다. 연간 수입차 신규등록이 전년대비 감소한 것은 2009년 이후 7년만이다. 국내 수입차 시장은 1997년과 1998년 외환위기 충격으로 각각 21.1%, 74.5% 감소한 해를 제외하면 지난 20년간 꾸준히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당시 전 세계를 강타한 금융위기 영향으로 수입차 판매가 전년대비 1.1% 줄었다.

지난해 역성장 배경에는 아우디폭스바겐의 디젤게이트가 있다. 리콜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가운데 인증조작으로 결국 대규모 판매중단 처분을 받으면서 아우디와 폭스바겐의 연간 판매량은 전년대비 50% 이상 급감했다. 폭스바겐의 경우 2015년 3만5000여대를 팔았지만 지난해 1만3000여대로 63% 줄었고 아우디 역시 3만2000여대에서 1만6000여대로 48% 떨어졌다.

다만 E-클래스를 앞세운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연간 최대 실적을 올리며 전체 감소폭을 만회했다. 벤츠코리아는 지난해 11월 이미 수입차 시장 연간 5만 판매 시대를 열었다. 지난해 누적 판매량만 5만6343대로 2015년(4만6994대)보다 20%나 늘었다.벤츠의 선전은 신형 E클래스와 확충된 SUV 라인업이 뒷받침했다. 지난해 6월 출시된 신형 E클래스는 반자율주행 기능 등 첨단 기능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12월 수입차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량 1, 2, 5위 모두 E-클래스의 하위 모델이다. 10% 미만이었던 SUV 판매 비중을 16% 넘게 끌어올린 것은 또 다른 성공 비결이다. BMW코리아도 2015년보다 1.2% 늘어난 4만8459대를 팔았지만 벤츠의 역주를 따라 잡지는 못했다. 올해 BMW코리아는 볼륨 모델인 신형 5시리즈를 내세워 역전에 나선다.

아우디폭스바겐의 부재를 영국, 미국, 일본 업체들이 차지한 점도 눈에 띈다. 렉서스와 토요타는 전년대비 각각 33%, 18%씩 성장하며 수입차 판매 3~4위에 올랐고 재규어랜드로버 역시 48%의 고속 성장폭을 보이며 5위내 진입에 성공했다.

디젤게이트 이후 국내에서도 디젤 수요가 줄어든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 2015년 16만7000대 규모였던 국내 수입차 디젤 시장은 지난해 13만대로 21%가 빠졌다. 반면 하이브리드 시장은 9700대에서 1만6000대로 66%, 가솔린 시장 역시 6만5000대에서 7만6000대로 16% 늘었다.

윤대성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전무는 "지난해 수입차 시장은 폭스바겐 사태로 인한 디젤차의 판매부진과 일부 모델의 인증취소에 따른 판매중단으로 인해 2015년 대비 감소했다"며 "해당 업체들의 영업망이 정상화될 예정인 올해에는 다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