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국가정보화사업에 5조2000억 투입한다

전년 대비 3.7% 증가한 5조2085억 8002개 사업에 투입
지난해 OECD 공공데이터 개방지수 1위·인터넷 접속속도 1위 달성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정부가 내년 ICT 생태계 조성과 지능정보기술 관련 원천 기술· 서비스 확산을 위해 5조2085억원을 투입한다.27일 정부는 제8차 정보통신 전략위원회를 개최하고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추진실적을 발표하고 2017년 추진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정부는 ▲지속 가능한 ICT 생태계 조성 ▲지능정보사회 준비로 경제 재도약을 위한 기반 마련 ▲규제 개선과 인프라 선진화를 통한 ICT 투자 효율성 제고 등을 골자로 한 국가정보화 계획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전년 대비 3.7% 증가한 5조2085억원을 8002개 사업에 투입한다. 중앙정부기관은 전년 대비 6.3% 증가한 4조1000억원, 지방자치단체는 5% 감소한 1조1085억원을 투입하게 된다.2015년부터 시작된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을 통해 정부는 사상 최초로 ICT 수출액 세계 3위(1729억 달러)를 달성했다. K-ICT 전략 수립 이후 소프트웨어(SW)와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등 9대 전략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데 주력했다.

또한 정부는 공공 데이터 개방과 이용 활성화에 힘을 쏟은 결과 'OECD 공공데이터 개방지수' 1위를 달성했다. 2013년 대비 공공데이터 개방 건수는 3배 증가한 1만5912건, 이용건수는 56배 증가한 78만3773건을 기록했다.

K-글로벌 프로젝트를 통해 ICT 유망기업 300곳의 창업보육, 성장, 해외진출 등을 단계별로 지원했다. 그 결과 지난해 1452억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1718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액티브X' 개선사업과 공인인증 서비스를 개선하는 데에도 앞장섰다. 국내 주요 웹사이트의 액티브 X 숫자는 2014년 1644개에서 15년 766개로 감소했다.

정부는 ICT 실증단지 구축, 정보화 시범사업 등을 통해 국민들의 일상에도 ICT를 접목시키고 있다. 대구의 데일리 헬스케어 실증단지, 부산의 글로벌 스마트시티 실증단지도 조성하고 있다. 이밖에도 만성질환자나 원양선박 등을 대상으로 원격의료 시범사업을 추진해 미래 헬스케어 산업 육성 기반을 마련했다.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해 SW 선도교육을 확대하고 SW중심대학을 운영하는 등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도 나섰다. 정부는 8곳의 대학을 SW중심대학으로 선정해 지원하고 있으며, 초·중등 디지털 교과서 시범적용 학교도 1617곳으로 확대했다.

또한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맞춤형 정보화 교육과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정보복지'도 구현하고 있다. 그린PC 무상지원(1만9332대), 장애인용 정보통신 보조기기(4269대) 등을 통해 취약계층 정보화 수준을 79.5%로 개선했다.

ICT 인프라를 고도화해 인터넷 접속속도 1위도 재탈환했다. 한국의 인터넷 평균 접속속도는 29Mbps로 세계 1위다. 현재 국내에 기가급 인터넷망을 전국 85개 시 80%(68개)에 구축했고, 공공 와이파이존도 1만1280곳으로 확대했다.

사이버침해 대응체계를 고도화 해 사이버 안전 강화에도 힘을 썼다. 정부는 정보통신기반시설 354곳의 정보보호 수준을 강화하고, 정보보호지원센터를 5개 지역으로 확대해 중소기업의 정보보호 지원체계를 강화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