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금리인상 D-day]0.25%P의 나비효과…트럼프, 부메랑 맞나

[美금리인상 D-day]0.25%P의 나비효과…트럼프, 부메랑 맞나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미국의 금리인상 결정이 임박했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14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발표할 전망이다.

이번 금리인상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던지는 시사점은 크다. 바로 금융위기 이후 계속돼온 제로금리 정책으로 전 세계에 풀려나간 달러 자금의 본국 회귀가 시작됐음을 뜻하기 때문이다. 세계 금융시장의 돈줄을 죄고 있는 미국의 금리인상과 함께 '자국 우선주의'로 대변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강화가 맞물리면서 미국과 다른 국가들간 금리·환율·무역 등을 놓고 치열한 기싸움이 예상된다. ◆막 올리는 고금리·강달러= 미국의 금리인상을 놓고 저금리 자금에 의존해 온 신흥국의 충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의 분위기를 살펴보면 Fed의 긴축이 되레 미국에 부메랑이 돼 돌아올 것이란 걱정이 들려온다. 특히 재정확대와 인프라 투자, 무역적자 축소를 통해 미국 경제를 띄워보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 트럼프 정부는 고금리, 강달러의 역풍에 직면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트럼프는 미국의 최대 교역 파트너인 중국에 대한 관세부과, 유럽 등 법인세가 낮은 다른 국가에 진출한 자국 기업들 불러들이기를 통해 무역적자를 줄이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늘어가는 무역적자가 성장을 가로막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금리 인상이 지난달 이후 가시화된 달러 강세에 불을 붙이면 미국의 무역적자 축소는 오히려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지난 2009~2013년 미국 재무부 중국경제특사를 지낸 데이비드 달러 브루킹스 연구소 선임 연구원은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대재앙이 다가오고 있는 것 같다"면서 "트럼프 정부의 감세와 인프라 투자는 고금리와 강달러를 부추길 것이며 이는 무역적자 확대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적자 줄이기를 정책적 목표로 삼는 것이 이성적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현재의 트럼프 공약 패키지 대로라면 균형잡힌 무역은 불가능하다"라고 덧붙였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측정하는 달러지수(DXY)는 지난달 말 13년만에 최고치인 101을 돌파한 뒤 떨어지지 않고 있다. 미국 싱크탱크 피터슨 연구소는 현재와 같은 강달러와 금리인상 분위기가 계속될 경우 국내총생산(GDP)의 2.7% 수준인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2021년까지 4%로 확대될 것이란 분석을 내놨다. 트럼프 당선자 역시 "강한 달러란 말은 좋아 보이지만 지나치면 기업들의 경쟁력을 헤친다"라고 말한 바 있다.

[美금리인상 D-day]0.25%P의 나비효과…트럼프, 부메랑 맞나 원본보기 아이콘


◆무역전쟁 시작= FT는 강달러에 따른 무역적자 확대로 트럼프의 교역국 비난 수위가 더 높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가 위안화 국제화를 위해 시장 친화적 환율 개혁을 추진하면서 위안화는 올해 들어 뚜렷한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강달러가 심화되고 미국 무역적자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과의 교역에서 마이너스가 계속될 경우 트럼프의 중국 비난은 더 거세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트럼프는 공공연하게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자본유출을 막기 위해 과도한 위안 약세를 저지하고 있는 중국 정부를 무조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중국이 위안화 추가 절하로 대응할 수도 있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매튜 굿만 선임 고문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다고 해도 달러 강세 흐름을 막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미 국채 금리 3% 시대 오나= 미국의 인플레이션 회복 기대감이 반영되며 예상보다 빠르게 뛰고 있는 국채 금리도 골칫거리다.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 미국 정부의 자금조달 비용이 급증해 그렇지 않아도 돈 쓸 곳이 많은 트럼프 정부의 재정건전성이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최근 2년만에 2.5%를 돌파했고 내년중 3%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난 7월만 해도 1.3% 수준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빠른 상승세다. 국채 매도세가 미국을 시작으로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채권 투자자들은 패닉에 빠져있다.

빌 그로스를 제치고 '새로운 채권왕'으로 불리는 제프리 군드라흐 더블라인캐피털 최고경영자(CEO)는 "국채 금리 3% 돌파는 채권의 강세장이 명백하게 끝났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이는 미국 증시와 부동산 시장에 해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은 채권에 우호적이지 않으며 향후 4~5년 사이 10년물 국채 금리는 6%까지 올라갈 수 있다"면서 "1월 20일 트럼프 취임과 함께 미 증시의 랠리 분위기가 완전히 바뀔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