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호인 국토부 장관 "화물 운행률 42%로 높여…긴급화물 우선 운송"

강호인 "비상수송대책 만전 기해야…철도노조 파업, 법·원칙 따라 대응"

강호인 국토부 장관.(자료사진)

강호인 국토부 장관.(자료사진)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은 3일 파업 장기화에 따른 물류대란 우려와 관련해 "화물연대까지 집단 운송거부에 돌입할 경우 국가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피할 수 없는 만큼 특수·긴급 화물에 대한 우선적인 운송과 관련 업계 간의 사전 정보공유 등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시켜 달라"고 강조했다.강호인 장관은 제38차 ICAO 총회(캐나다) 참석을 위한 출장 도중 철도파업과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거부 가능성 등으로 인한 물류대란에 대응하기 위해 이날 오전 4시 조기 귀국했다.

도착 직후 수도권 물류거점인 의왕 ICD를 방문한 강 장관은 현장에서 철도파업 현황 및 대책을 보고 받았다. 이 자리에서 강 장관은 "국가경제의 혈맥인 물류기능이 차질을 빚지 않도록 비상수송대책 추진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강 장관은 "이번 파업이 철도노조의 공공부문 개혁에 대한 저항"이라며 "국민경제와 국민안전에 더 큰 우려를 주지 않도록 철도노조의 파업 중단과 파업 참가자의 근무지 복귀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이날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파업 2주차에 대비한 열차운행계획을 마련해 보고했다. 이에 따라 일반열차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필수유지 운행률인 60% 수준으로 운행된다. KTX는 100% 정상운행되지만 수도권 전동차는 기존 100%에서 90%로 운행률을 낮춘다. 다만 국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출근시 100%, 퇴근시 92%의 운행률을 유지할 계획이다.

화물열차는 운행률을 기존 30% 수준에서 42% 수준까지 올릴 예정이다. 특히 심각한 업계 피해가 예상되는 시멘트 및 컨테이너를 중심으로 열차를 증편 운행할 계획이다.

강 장관은 "철도노조의 파업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하라"며 "다만 철도파업과 관련한 모든 관계자가 파업의 빠른 종료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해달라"고 당부했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