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차 개발·산업 생태계 조성 위해 범부처 지원체계 구축

국토부, 산업부·미래부와 '자율차 산업융합기술개발 사업' 공동 추진

부처 추진 체계.

부처 추진 체계.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정부가 자율주행자동차 개발과 관련한 산업융합 생태계 조성을 위해 범부처 차원의 지원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국토부는 10일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2차 과학기술 전략회의에서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된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융합기술개발 사업'을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 경찰청과 함께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운전자와 자동차, 자동차와 주변환경 그리고 일상생활의 모든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편리하고 안전한 자율차 개발 및 산업융합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연구개발사업이다.

우선 국토부는 ▲'차량-인프라'간 유기적인 협력주행 실현 ▲능동적· 선제적 예측 기반 교통운영관리 기술 개발 ▲실증환경에서의 실도로·실차 대상 다양한 자율주행 시나리오 개발 ▲사회적 수용성·사용자 적정성에 대한 평가·검증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산업부는 자율차 상용화·융합신기술 개발을 지원과 글로벌기업 육성 등을, 미래부는 ICT 인프라 원천기술개발 등을 돕는다.

또 국토부는 지난 5월18일 열린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발표한 '자율주행차 3대 핵심 안전성' 연구 중 주행·고장안전성과 정보보안은 '자율주행차 안전성 평가기술 및 테스트베드 개발' 사업을 통해 올해 하반기부터 추진한다. 차량-운전자간 제어권 전환은 내년부터 추진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정밀도로지도와 정밀GPS,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 등 3대 자율주행 인프라 구축을 위해 스마트 자율협력주행 도로시스템 개발 및 차로까지 구분하는 정밀GPS 실용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 말까진 돌발상황과 혼잡 등 교통정보 제공 등 자율주행차량-도로 연계 협력주행 서비스를 위한 통합운영센터도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현재 고속도로 1곳과 5개 노선 등 8개 구간 376㎞에 한정됐던 시범운행구역을 올해 안에 네거티브(포괄허용·예외금지) 방식으로 전환하고 지역도 시가지를 포함한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특정 구간을 오가는 '무인 자율주행 셔틀' 시범운행 등을 위한 제도 정비도 검토한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