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린 바모스 호주퇴직연금협회 회장 "맞춤형 기초연금 제도 도입해야"

[아시아경제 김원규 기자] "호주가 여느 국가와 달리 강제성을 가졌던 것이 기초연금이 성공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8일 폴린 바모스 호주퇴직연금협회 회장은 금융투자협회 3층 불스홀에서 한국금융투자협회, 호주퇴직연금협회 및 주한 호주대사관이 공동으로 개최한 ‘한-호주 퇴직연금 및 운용전략 세미나’에서 호주의 기초연금 성공사례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폴린 바모스 회장은 연설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연금제도가 존재하고 제도별 구조가 어떻게 돼있느냐에 따라 사회나 정부가 제공하는 혜택도 다르다"면서 "한국도 상황에 맞는 기초 연금 제도를 도입하는게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호주는 여러 관할권이 있지만 인구가 많지 않은 만큼 납세자 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며 "강제성을 통해 기조연금에 가입해야 하는 제도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부분 사람들은 강제성이 없으면 번거롭거나 지출에 대한 부담으로 관심이 낮아진다"면서 "일정 나이가 지나기 전까지 중도 인출을 못하게 한 것 지금의 호주 기초연금이 탄생했다"고 덧붙였다.

호주의 퇴직연금적립금은 1.56조 달러 규모로 한국의 퇴직연금적립금(0.11조 달러)의 약 14배 수준이다. 수익률 측면에서는 호주 퇴직연금의 20년간 연평균 수익률은 7.5%다. 최근 5년 누적 연평균수익률은 호주가 9.5%, 한국은 약 3% 초반이다. 특히 노사와 합의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필수라고 폴린 바모스 회장은 거듭 강조했다. 그는 "미리 노후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는 것과 투자운용과 투자 원가 등 연금 시스템의 기본을 사람에게 잘 이해시키기 위해 정부차원에서 노력했다"며 "해당 기관도 가입자들의 이해를 대변할 수 있도록 전문성을 가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호주는 앞서 현재 임금의 3% 기여금을 점진적으로 상향조정되는 체재로 바꿔 강제연금하겠다고 노사와 합의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는 가장 성공적인 노후보장시스템으로 평가 받고 있는 호주퇴직연금, ‘슈퍼애뉴에이션’의 활성화 배경과 호주 주요 자산운용사들의 인프라투자 등 운용전략을 발표하고 한-호주 상호 투자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개최됐다.



김원규 기자 wkk091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