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러 국제물류 운송루트 구축 협약…모스크바까지 15일 단축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한국에서 러시아 모스크바까지의 물류운송기간이 15일 가량 단축될 전망이다.

인천시는 홍순만 경제부시장이 '한·중·러 국제물류 루트 구축 프로젝트'와 관련해 이준영 삼성전자 부사장 등과 함께 중국 다롄시를 방문했다고 27일 밝혔다. 홍 부시장은 이날 중국 다롄시에서 열린 삼성화물열차 개통식에 이어 깔루가주-다롄항그룹 협력 MOU 체결식, 한·중·러 국제물류 루트 구축 협력 MOU 체결식에 참석했다.

그동안 삼성전자는 국내에서 생산된 가전제품을 부산항에서 선적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운반한 후 시베리아 횡단열차로 모스크바까지 운반해왔다.

하지만 앞으로는 인천항에서 서해 바닷길을 건너 중국 다롄항으로 운반한 뒤 중국 만주횡단열차를 이용하면 기존 루트에서 35일이 걸리던 운반시간이 15일 가량 단축된다.한편 이날 오후 선양철로국, 하얼빈철로국, 중국 COSCO, 삼성전자, 다롄항그룹이 체결한 '한·중·러 국제물류 루트 구축 협력 MOU'는 중국 만주횡단철도(TMR)와 러시아 횡단철도(TSR)를 잇는 국제물류 운송루트를 구축하기 위한 업무협약이다.

이번 업무협약과 관련해 인천시와 대련시, 깔루가주 등 3국 지방정부는 국제물류 운송루트 구축에 적극적인 행정지원을 위한 선언문을 채택했다.

인천시는 이번 협약 체결과 행정지원 선언문 채택이 3개 도시간의 물류 확대를 통한 인적·문화적 분야 교류로 발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TMR, TSR를 통해 유라시아 등에 공급될 제품의 Lead Time(상품생산 시작부터 완성까지 걸리는 시간) 단축으로 물류비가 절감돼 글로벌 경제의 물류시스템 구축은 물론 물류경쟁력을 한층 높일 것으로 전망했다.

홍 부시장은 "한·중·러 국제물류 운송루트 구축은 새로운 물류루트 개척의 의미를 넘어 대한민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정책'과 중국의 '일대일로'전략의 실현이기도 하다"며 "인천항과 중국 다롄항의 물동량 증가로 양국의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