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청장 “고용창출·수출증대 중심으로 中企 지원책 전환”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중소기업청이 올해 고용 창출과 수출 증대를 중심으로 중소기업 지원 정책방향을 전환하기로 했다.

한정화 중소기업청장은 13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들과 만나 “성장률 둔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수출 촉진과 좋은 일자리 창출이 시급하다”며 “중소ㆍ중견기업 지원사업의 우선순위를 고용창출과 수출 증대에 두고, 평가ㆍ선정체계, 지원제도 등을 재설계하겠다”고 말했다.대기업과 중소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커지는 임금 격차와 수출 감소로 인한 우리 경제의 성장세 제약 등을 해결해서는 중소기업 지원 제도의 손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 청장은 “5조2000억원 규모의 중소기업 지원사업에 고용ㆍ수출지표를 통해 신청기업을 평가하고 지원기업을 선정하겠다”며 “이런 기업들을 우선 지원하고 정책자금을 우대하는 정책을 펴겠다”고 말했다.

한 청장이 강조한대로 올해 중기청은 고용지표 반영 사업과 수출지표 반영 사업을 각각 294%와 233% 확대할 방침이다. 수출 전용ㆍ수출 잠재 중소기업을 위한 연구개발(R&D) 지원도 44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5배 이상 늘리기로 했다.한 청장은 이번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 중 가장 성과가 뚜렷한 것으로 창업활성화와 중소기업 기술보호제도를 꼽았다. 그는 “정부 창업지원사업 수혜기업인 기술기반업종의 생존체력은 일반 창업기업에 비해 2배나 높다”며 “창업기업의 생존률을 더 높이고, 재도전과 판로ㆍ해외시장 개척할 수 있도록 중점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청장은 ‘대기업의 기술인력 빼가기’를 중소기업의 사업 의욕을 꺾고, 성장을 가로막는 가장 해결이 어려운 고질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