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년 역사도시 서울' 첫 기본계획 수립에 시민들 참여

[아시아경제 윤나영 기자] 서울시가 2000년 역사도시 서울의 장기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데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한다.

서울시는 '역사도시 서울 기본계획' 수립에 모바일 투표앱과 정책 토론회 등을 통해 수렴한 전문가와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시는 2월 중 모바일 투표앱 엠보팅(m-voting)을 활용하고 3월에는 정책토론회를 개최해 '2000년 역사도시 서울' 장기 비전에 대한 시민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또 지난해 7월부터 '역사도시 서울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진행 중이다. 용역은 오는 3월까지 진행된다. 이와 함께 역사, 인문, 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25인으로 구성된 '역사도시 서울 추진위원회'에서 ▲학술 ▲역사문화향유 ▲역사문화관리 3개 분과별로 중점 추진과제를 논의 중이다.

이 과정에서 시의회와도 유기적으로 협력해 '역사도시 서울 기본조례' 제정 등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서울시는 학술용역 결과와 수렴된 전문가, 시민 의견을 반영해 '역사도시 서울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오는 6월 '역사도시 서울'을 선포할 예정이다.한편 서울 역사의 시간적 범위는 과거 조선의 도읍인 한양을 중심으로 규명한 '정도 600년'으로 인식돼 왔다. 그러나 역사학자들 사이에 풍납토성이 한성백제의 도읍인 위례성임이 정설로 굳어지면서 한성백제 역사를 포함한 2000년으로 그 범위가 확장됐다.

고홍석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2000년 과거 역사를 담고 현재 역사를 만들며, 미래 시민이 누릴 수 있는 역사도시 서울을 구현하기 위한 체계적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며 "역사도시 서울 기본계획에 시민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윤나영 기자 dailybe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