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낙상의 계절…'고관절 골절' 치료법은

[아시아경제 권용민 기자] 겨울철은 넘어지거나 미끄러져 다치는 낙상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해 노인들을 더욱 움츠러들게 한다. 눈길이나 빙판길처럼 미끄러운 길 앞에서는 젊은층도 잔뜩 긴장하며 걷기 마련이다.

상대적으로 보행능력이 떨어지는 노년층의 경우엔 한걸음 한걸음이 더욱 조심스럽기만 하다. 빙판길에 넘어졌을 때 다치기 쉬운 부위는 손목, 척추, 고관절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노년층이 고관절 골절 사고를 당하면 심할 경우 목숨까지 잃을 수 있다.◆대다수 노년층 고관절 골절은 ‘대퇴경부골절’로 ‘인공관절 반치환술’로 치료 가능 = 고관절 골절은 대퇴전자간부골절과 대퇴경부골절 두가지로 나뉜다. 대퇴전자간부골절은 ‘골절부고정술’로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노인들이 낙상으로 인해 다치는 유형은 대퇴경부골절이다. 이 때는 부러진 고관절을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고관절 인공관절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최선이다. 불유합이나 무혈성 괴사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대퇴경부골절의 대표적인 치료법은 인공관절 반치환술로, 골절된 고관절의 대퇴부분만 인공관절로 바꿔주는 수술 방법이다. 고관절 인공관절 수술을 선택할 때에는 경험이 풍부하고 전문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근육-힘줄 보존 최소절개술’, 출혈과 통증 줄이고 회복도 빨라 노년층 수술에 적합 = ‘근육-힘줄 보존 최소절개술’은 근육과 힘줄을 절개하지 않고 힘줄을 젖혀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법이다. 근육과 힘줄을 보존해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고관절의 안정성에 도움을 주고, 재수술의 가장 큰 원인로 꼽히는 탈구의 위험성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외출 전 스트레칭, 여러 겹의 옷입기, 지지대 사용 등으로 골절 부상 예방하는 것이 중요 = 골절 부상을 당했을 때 빠른 치료가 급선무이지만, 그보다 더욱 좋은 것은 낙상사고를 미리 방지하는 일이다.

먼저 외출 전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낙상사고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추운 날씨는 몸을 더욱 움츠리게 만들지만, 스트레칭은 근육과 인대를 이완시켜 근육의 유연성을 키워준다.

외출 시 두껍고 무거운 옷을 입으면 움직임이 둔해질 뿐 아니라 시야 확보가 제대로 되지 않아 낙상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때문에 두꺼운 옷 한 겹보다는 얇은 옷을 여러 번 겹쳐 입는 것이 체온 유지는 물론 몸의 움직임을 더 좋게 하여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송상호 웰튼병원 원장은 “고관절 골절은 조기에 올바른 치료를 하지 않았을 때 사망률이 90%에 달하고 6개월 내 사망할 확률도 20~30%나 되는 등 치명적일 수 있다”며 “낙상 후 통증이 지속된다면 전문적인 검사와 상담을 통해 질환을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권용민 기자 festy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