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콜' 100만대 넘었다

2013년 103만여대 이후 두 번째…국산 75%·수입 25%
르노삼성 40만여대로 최다…한국GM·BMW코리아 순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올해 리콜한 차량 대수가 100만대를 넘었다. 2013년 103만여대에 이어 사상 두 번째이다.2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리콜 차량은 100만4706대다. 제작결함으로 리콜 결정이 내려진 차량 대수를 연간 단위로 보면 2009년 15만9000대에서 2010년 27만대, 2011년 26만8000대, 2012년 20만6000대로 오르내리다가 2013년103만7000대로 껑충 뛰었다. 2013년에는 현대·기아차의 15개 차종 66만2천대가 브레이크 스위치 접촉 불량으로 대량 리콜됐다. 2014년에는 리콜이 86만9000대로 줄더니 올해 다시 100만대를 넘었다.

올해 리콜 차량 100만4000여대 가운데 국산이 75만7000대(75%), 수입이 24만7000대(25%)다. 제작사별로 보면 르노삼성자동차(국산)가 약 40만대로 가장 많았다. SM3·5 승용차의 엔진마운트를 고정하는 볼트에 결함이 발견돼 39만2000여대를리콜한 것이 주요하게 작용했다. 한국GM(국산)이 약 22만대로 뒤를 이었다. 한국GM은 크루즈, 라세티프리미어와 올란도 등 3개 차종 약 10만대를 브레이크호스 누유로, 말리부와 알페온 등 7만8000여대를 안전벨트 결함으로 리콜했다.

BMW코리아는 6만5000여대, 기아차 6만여대, 현대차 5만6천여대,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3만5000여대,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3만2000여대, 혼다코리아 2만3000여대, 르노삼성차(수입) 2만여대 순이다. 나머지 제작사는 리콜차량이 연간 2만대 미만이다. 올해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한 배출가스 조작사건으로 환경부가 리콜명령을 내린 폴크스바겐그룹 15개 차종 12만5000여대는 국토부 리콜 집계에 포함되지 않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자동차 소비자들이 인터넷이나 동호회 활동을 통해 제작 결함을 금방 알아차리고 정보공유도 빠르다"며 "제작사들이 전에는 쉬쉬하는 분위기였지만 지금은 신속히 시정조치하는 쪽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