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납토성 토지보상에 5000억 투입…2020년까지 조기완료

[아시아경제 윤나영 기자] 서울시가 전기 백제 500년 역사의 왕성으로 알려진 풍납토성의 핵심지역 주민 토지보상에 5년간 총 5137억원을 집중 투입,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목표인 2020년까지 토지보상을 조기에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문화재청과 공동으로 이와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풍납토성 조기보상·세계유산 등재 종합계획'을 23일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문화재청과 국?시비를 확대 투입하고 부족한 재원은 서울시가 지방채를 발행한 후 문화재청이 후에 국비 부담분을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시는 문화재청, 기획재정부, 국회와 협의를 통해 내년도 풍납토성 보상비를 올해보다 71억원 늘어난 총 571억원(국비 400억원, 시비 171억원)으로 확정했다.

보상방식은 2·3권역 전체에서 왕궁 추정지 등 핵심지역을 추려 우선 보상하는 '선택과 집중' 방식으로 전환했다. 토지 조기보상 대상지는 ▲왕궁이 있던 곳으로 추정되는 지역(2-3권역 내) 중 핵심지역 ▲2~3권역 가운데 기존에 보상을 신청한 지역으로, 총 약 5만1000㎡이다.

시는 이들 지역에 대해 5년 내 우선 보상하고, 필요시 단계적으로 지역을 확대 추진해 풍납토성 발굴?복원 사업의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풍납토성은 지난 22년간의 보상을 통해 유구보존지역(1~3권역, 72만7005㎡) 중 35.1%(25만5370㎡)를 보상했으나, 현 보상비 수준으로는 유구보존지역 보상에만 수십년 이상 걸려 주민들에게는 사실상 기약 없는 사업으로 여겨지고 있었다.

이창학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이번 계획은 풍납동 주민의 재산권을 보장하면서 풍납토성 보존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조기보상 재원과 상생방안을 마련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윤나영 기자 dailybe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