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아시아국가 부채위험 1997년 수준"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일부 아시아 국가의 부채 위험이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에 근접해 있다는 국제통화기금(IMF) 전문가의 지적이 나왔다. 1160조원을 넘은 한국의 가계대출도 이자율 상승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진단됐다.

딩딩 IMF 아태국 선임연구원은 11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한국은행ㆍIMF 공동 주최로 열린 '아시아의 레버리지(차입투자): 과거로부터의 교훈, 새로운 리스크 및 대응 과제' 콘퍼런스에서 아시아 국가의 신용위험지표와 신용갭(부채가 추세에서 벗어난 정도)을 분석한 결과를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딩 연구원은 "일부 아시아 국가들의 부채 위험은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수준에 근접해 미국과 유럽에 비해 위험성이 더 크다"며 "성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용규모 축소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별 분석 결과에서 "한국의 가계대출은 대체로 경기 순환 및 구조적 요인을 반영한 것이어서 가계의 대차대조표 측면에서 별다른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향후 이자율 상승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올해 3분기 말 현재 1166조원이다. 또 말레이시아의 가계대출은 부채 증가가 자산 증가와 관련성이 큰 가운데 대부분의 대출이 고소득자 중심으로 분포돼 있어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

기업대출에 관련해서는 "총액 기준으로 보면 큰 문제가 없지만 중국, 일본, 인도 그리고 한국에서 기업 대출이 소수의 회사에 집중돼 있다"며 "이들 회사는 유동성, 수익성도 낮아 향후 금융 안정을 저해하는 위험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딩 연구원은 이에 따라 "부채증가에 대한 정책대응은 주로 신용관련 취약성을 해소하는 데 집중해야 하지만 급격한 신용축소에 따른 성장률 하락도 경계해야 하므로 거시건전성 정책, 통화금융 정책을 포함한 모든 거시경제 정책들간 조화로운 운용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또 "일부 국가의 경우 부채 탕감을 통해 부실 산업들을 정리하고 은행들이 보다 생산적인 산업에 신용을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필요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