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안 노조 "삼안의 차입인수 반대한다"

[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최근 인수합병(M&A) 절차가 다시 진행중인 건설 엔지니어링 업체 삼안의 노조 측은 7일 "삼안의 차입인수(LBO)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삼안 노조는 이날 '삼안 정상화를 위한 5번째 매각 성공을 위한 입장 발표'라는 보도자료를 내고 "차입을 통해 삼안을 힘겹게 인수하고 불법적 자금 유출을 시도한다면 인수자 스스로에게도 불행일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삼안은 현재 NH농협을 중심으로 하는 채권단으로부터 워크아웃을 진행중이다. 채권단은 지난 8월 코스닥 상장사 대아티아이 컨소시엄을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해 최종 계약 직전까지 협상을 진행했지만 결국 무산됐다. 이에 지난달 매각공고를 다시 냈으며 지난 4일 접수가 마감됐다.

노조는 "인수의향서 접수 대상을 확인하고자 매각 주간사 등에 문의했지만 어떠한 정보도 듣지 못했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노조가 바라는 삼안 정상화를 위한 매각이 아닐수도 있다는 판단에 몇 가지 요구사항을 전한다"고 운을뗐다.

노조가 가장 우려하는 것은 삼안의 차입인수다. 이에 인수자의 재원조달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노조는 "자기자금을 통한 인수자와 차입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 인수자가 동일한 금액을 투자한다고 해서 같은 자격으로 간주돼서는 안된다"며 "자기자금이 없는 투자자는 결국 삼안 인수 후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인수자가 인수 과정에서 발생한 금융 부담을 피인수 회사에 전가하는 상황이 또다시 발생해서는 안된다는 것. 삼안은 2011년 프라임그룹의 차입경영 과정에서 떠안은 계열사 프라임개발에 대한 지원금(부실채권) 1200억원을 돌려받지 못해 재무구조가 크게 악화됐다.

프라임개발도 현재 워크아웃을 진행중이며, 해당 금액은 현재까지 돌려받지 못하고 있다. 연말까지 이를 돌려받지 못하면 삼안은 자본잠식에 빠져 법정관리 행이 불가피하다. 업계 특성상 법정관리에 돌입 할 경우 파산에 직면해 900명의 직원이 일자리를 잃을 것이라는 게 노조 측의 입장이다.

노조는 "인수 희망자는 회사 발전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며 "어떠한 형태의 협의 없는 강제적 구조조정에 반대할 것"이라고 전했다.

노조는 이어 "인수희망자는 노조를 인정하고 평등한 노사 관계를 유지하며 노조와 성실히 대화에 임할 자세를 가지고 삼안 인수에 참여해야 할 것"이라며 "인수 후에도 삼안에 소속된 임직원에 대해 고용을 승계해야 하며, 협의 없는 강제적 구조조정엔 반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