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생활 접목…향후 10년간 국가물류기본계획 수립한다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정부가 2025년까지 향후 10년간 국가 물류정책의 얼개가 되는 '국가물류기본계획' 수립에 나섰다.

7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8일 국가물류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가 개최된다. 해수부와 국토교통부는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해 오는 31일까지 국가물류기본계획(안)을 보완한 후, 관계기관 협의,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내년 3월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국가물류기본계획은 2016~2025년 육해공 물류를 망라하는 국가 물류정책으로, 정부가 10년 단위로 매 5년마다 수립하고 있다. 이번 계획에는 정보통신기술(ITC) 등 첨단기술, 유통과 결합된 생활물류의 부상, 물류의 글로벌화 등 최근의 국내외 물류산업의 환경 변화를 반영할 예정이다.

이날 공청회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과 한국교통연구원이 수행한 국가물류기본계획(안) 연구와 전문가 회의 등을 거쳐 마련된 계획(안)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그간의 정부주도형, 제조·유통 지원형 물류기본계획에서 벗어나 ▲창의적 서비스의 자발적 창출을 도모하는 민간주도 물류 ▲국민생활 편의를 지향하는 생활밀착 물류 ▲공유·협동·공동 지향의 융·복합 물류, ▲제조·유통을 주도하는 선도 물류, ▲유라시아·통일시대를 대비하는 글로벌 연계·확장형 물류 등 미래발전의 방향을 제시했다.추진전략으로는 ①미래물류지도변화에 대비한 국제물류시장 진출 확대, ②시장 선진화 및 규제혁신을 통한 물류산업 경쟁력 강화, ③미래 대응형 스마트 물류기술 발굴 및 정보화 사업 육성, ④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지속가능 물류 물류환경 조성, ⑤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융복합 물류인프라 구축, ⑥물류산업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신성장 동력 확충, ⑦국민에게 다가가는 생활밀착형 물류기반 조성 등 7대 전략(안)이 마련됐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