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뇌은행 개소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서울대병원은 우리 뇌의 비밀을 풀고 각종 난치성 뇌 질환을 정복하기 위해 최근 ‘서울대학교병원 뇌은행’을 개소하고 본격 운영에 나섰다고 12일 밝혔다.

뇌은행은 사망자의 뇌 조직을 기증받아 보관·관리하고, 연구자에게 분양 하는 역할을 한다. 뇌 조직은 뇌 연구자에게 매우 중요한 자원이다. 예컨대 뇌 질환의 신약 개발 과정에서 뇌 조직을 사용하여 다양한 연구를 진행한다. 그러나 살아 있는 사람에게 뇌 조직을 얻는 것은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이에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뇌은행을 설립해 뇌 기증 및 연구 활성화에 힘쓰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12월에 한국뇌은행이 설립됐다. 한국뇌은행은 뇌조직과 관련 정보를 기증받아 보관, 관리, 분양하는 국가중앙은행이다. 한국뇌은행은 사후 뇌 기증이 활성화되고 기증된 뇌 조직이 연구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국내 주요병원과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각 네트워크 병원 내에 거점 뇌은행을 지정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뇌은행은 올해 6월 국내 최초로 한국뇌은행이 지정한 거점 뇌은행으로, 사후 뇌 기증 및 뇌 연구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뇌질환 환자가 사후 뇌 기증 의사가 있을 경우 이곳에서 담당의사 혹은 코디네이터에게 상담을 받은 후 ‘뇌 기증 희망자 등록신청’을 한다. 뇌질환 환자가 우선 대상이나, 관련 질환이 없거나 다른 질환 환자도 신청가능하다.

신청자가 사망하면, 전문 부검팀이 유가족의 동의 후 서울대학교병원 등 부검이 가능한 곳에서 뇌 조직을 분리, 보관한다. 부검 후 기증자의 시신은 원래의 모습으로 유가족에게 인도되며, 병원 장례식장 무료 임대 등 장례 절차도 지원된다.

기증된 뇌 조직은 서울대학교병원 연구진을 비롯한 국내 뇌 전문가들의 엄격한 심의를 거쳐 뇌 연구자 및 연구기관에 분양된다.

왕규창 서울대학교병원 뇌은행장(소아신경외과 교수)은 “뇌질환의 대부분은 치료가 어려운 난치성 질환이다. 뇌 기증은 뇌질환의 이해 증진과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돕는 ‘다음 세대를 위한 소중한 나눔’ 이다” 며 “서울대학교병원 뇌은행 개소를 계기로 국내 뇌 기증이 보다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고 말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