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딱한 캐나다 신임 총리, TPP 출범 늦출까

정치 스타 쥐스탱 트뤼도, 보수당 불투명한 협상 불만…농민단체 "새정부 상대 로비"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신임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신임 총리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10년 만에 이뤄진 캐나다의 정권 교체가 세계 최대 무역 동맹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의 출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TPP에 삐딱한 시선을 가진 캐나다 신임 총리 예정자 때문이다.

19일(현지시간) 치러진 캐나다 총선에서 중도 좌파 야당인 자유당이 집권 보수당에 승리했다. 자유당은 전체 하원 선거구 338곳 가운데 184곳에서 이겼다. 자유당의 승리를 이끈 쥐스탱 트뤼도 대표(43·사진)는 새로 개원할 하원에서 제23대 차기 총리로 취임할 예정이다. 자유당은 총선 과정에서 경제 살리기, 중산층 지원,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최근의 경기 부진과 기존 정치권에 대한 유권자들의 혐오가 젊은 총리의 활력이 넘치는 리더십과 만나 10년만의 정권 교체라는 결과를 낳았다.

이 같은 캐나다 유권자의 선택은 캐나다의 정치, 경제적 변화와 함께 국제 사회에도 적잖은 파장을 몰고 올 가능성이 크다. 대표적인 예가 TPP다.

TPP 참여국들은 그동안 캐나다 집권 보수당의 TPP 협상 과정에 불만을 품어온 자유당의 집권으로 역사적인 거대 무역 협정 출범이 늦춰지는 것 아니냐며 우려하고 있다. 자유당은 TPP 자체에 반대하고 있지는 않지만 보수당 소속 스티븐 하퍼 총리의 협상 과정이 불투명 하다고 비판해왔다. 특히 보수당이 자유당의 TPP 협정문 전문 공개 요청을 거부하면서 논란이 확산됐다. 트뤼도 대표는 자신이 총리가 되면 의회 비준 전에 합의 내용을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밝혀왔다.

캐나다는 12개 TPP 참가국들의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로 미국, 일본에 이은 3위다. 참가국들이 2년 내 의회 비준을 마치지 못할 경우 GDP 합계가 85% 이상인 6개국 이상의 비준이 발효 조건이다.

미국 민주당은 물론 공화당 내에서도 TPP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캐나다에서도 비준이 늦춰질 경우 TPP 출범 자체가 차질을 빚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캐나다의 TPP 참여를 반대해온 농민 단체들은 새 정부를 상대로 로비를 벌이겠다는 입장이다. 캐나다 전국농민연대(NFU)의 잔 슬롬프 대표는 "TPP가 이대로 발효되면 캐나다 낙농산업은 10년 내 사라질 것"이라면서 "협정의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자유당 정부를 압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