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국감]北생화학무기 대비한 화생방정찰차 예산 누락 논란

북한의 생화학무기에 대비해 실전배치하기로 한 신형 화생방정찰차

북한의 생화학무기에 대비해 실전배치하기로 한 신형 화생방정찰차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육군이 북한의 생화학무기에 대비해 실전배치하기로 한 신형 화생방정찰차 예산을 누락시켜 논란이 되고 있다.

23일 새누리당 정미경 의원이 육군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육군은 생화학무기 등 새로운 위협양상에 대비하기 위해 신형 화생방정찰차를 양산하는 사업을 진행중이며 올해 5월 실전테스트를 끝낸 데 이어 내년부터 2021년까지 약 3000억 원을 들여 200여대를 배치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내년예산에 화생방정찰차 예산은 누락됐다. 이에 정 의원은 "북한의 생화학 작용제를 탐지하려면 살포구역 안으로 직접 들어가야 하는 구형 정찰차와 달리 신형 정찰차는 5㎞ 이상 떨어진 곳에서 생화학 공격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인명피해가 없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지만 육군은 내년도 정부의 국방예산안에서 신형 화생방정찰차 도입비 30억 원이 전액 누락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정의원은 또 "기재부가 각 군의 신규사업을 3개씩만 올리라고 해 다른 사업에 밀렸다는 게 육군의 설명"이라며 "신형 정찰차의 도입시기가 늦춰지면 생화학전 대비는 물론 장비를 첨단화해 사단급부대의 화생방대대를 통합하려던 계획도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어 정 의원은 "올해 개발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력화가 미뤄진다면 국민세금이 들어가는 사업비용의 상승은 물론 안보공백까지 우려된다"며 "북한의 생화학 무기 공격에 대한 우리 군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