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대표 수난시대…'국감·총선룰'은 어디로

與野 대표 수난시대…'국감·총선룰'은 어디로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홍유라 기자] 바야흐로 여야 대표의 수난시대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사위의 마약파문,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재신임 카드 이후 당내 후폭풍으로 잡음이 끊이질 않는다. 때문에 여야 대표가 해결해야 할 총선룰 논의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19대 국회의 마지막 국정감사 또한 정치 거물들의 수난으로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진 양상이다.

김 대표 사위의 마약파문은 지난 10일 급작스레 불거졌다. 약 한달 전 여의도 정가를 떠돌던 '설'에 불과했던 이야기가 '사실'이 된 까닭이다. 이에 김 대표는 "반대를 많이 했는데 여러분들 다 경험해보면 알지만 부모는 자식 못 이긴다. 사랑한다고 결혼을 꼭 한다는데 방법이 없었다"며 "분명한 것은 구속돼서 나오고 한 달 정도까지 내용을 전혀 몰랐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김 대표의 차기 대권가도엔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 다수다. 사위에 대한 판결이 고위층 자제 봐주기 판결이 아니냐는 의혹의 눈초리가 많다. 게다가 국민적 비판여론도 만만치 않다.

얽히고설킨 당내 계파갈등에 지난 9일 급기야 재신임 카드를 꺼내든 문 대표의 수난도 끝이 보이질 않는다. 문 대표는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이런 상황을 더 방치하면 당은 정상적으로 유지되기 어렵다"며 "당을 지키고 기강과 원칙 세우기 위해 이 시점에 저는 대표직 재신임 묻는 게 불가피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당내에선 재신임의 방법론을 놓고 이견이 상당하다.

이와 관련 당내 중진들은 11일 긴급 회동을 갖고 '중앙위 소집과 재신임투표 등 당내 문제는 국정감사 이후 본격 논의하자'는 중재안을 제시했지만 합의에 실패했다. 결국 새정치연합의 재신임 정국은 어디로 튈지 알 수 없는 형국이다.이처럼 양당 대표 모두 수난을 겪게 되면서 오픈프라이머리, 권역별 비례대표제 등 정치권 총선룰 논의는 올스톱이다. 당초 여야 대표의 추석 전 회동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됐으나 양당 대표의 정치적 위기에 관련 논의는 자취를 감춘 모양새다. 또한 마약, 재신임 등 워낙 파장이 큰 이슈이다 보니 국민적 관심사도 이에 쏠리는 듯하다. 19대 국회 마지막 국정감사인 이번 국감이 상대적으로 묻히는 이유다.



홍유라 기자 vand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