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위 형량 봐주기' 논란…김무성, 총선·대선 행보는?

오픈프라이머리 타격 불가피…대권주자 입지 부분 영향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둘째 사위의 마약 범죄에 대한 형량 문제가 정치권에 미묘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형량 봐주기'라는 정치적 외압 논란이 외형적으로는 일단락됐지만 여당의 내년 총선 전략과 김 대표의 향후 대권 행보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외압 논란에 대한 급한 불은 꺼진 것처럼 보인다. 김 대표가 사건이 알려진 직후 직접 이 문제를 해명한데 이어 김정훈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이 11일 오전 회의에서 "법조인 입장에서 볼 때 (김 대표 사위 형량이) 낮은 게 아니다"고 지원사격했다.전날까지 시끌시끌했던 새정치민주연합도 이날 오전 확대간부회의에서 누구도 김 대표 사위 문제를 거론하지 않았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서울중앙지검 국정감사가 예정된 다음달 초까지 국감에서 문제제기를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사위 마약 범죄'의 불씨는 내년 이후 총선과 대선에서 커질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김 대표가 추진하는 내년 총선 밑그림이 대권주자로서의 입지와 맞물리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김 대표 사위의 마약 복용을 누군가 언론에 의도적으로 흘렸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당장 관심은 김 대표가 강력하게 밀어붙이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에 집중되는 양상이다. 정치권에서는 이 문제가 불거진 배경에 오픈프라이머리가 자리잡고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내년 총선 공천권을 놓고 일각에서 이번 기회에 김 대표의 의지를 꺾기 위해 나섰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아무래도 오픈프라이머리에 힘을 싣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며 "당내 일부세력이 공천권을 행사하기 위해 김 대표의 힘을 빼는 수순을 밟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 대표의 대권행보에도 영향은 불가피해 보인다. 대선까지 아직 2년 이상의 시간이 남아있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언제든 되살아날 수 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 악재인 것 같다"고 말했고 당내 비박계 의원들도 "국민정서를 고려하면…"이라며 말끝을 흐렸다.

다만 결정적 흠결은 아니라는 견해도 만만치 않게 나오고 있다. 사위라는 점에서 거리가 있고 핵심 쟁점인 형량 개입 문제에 대해서도 확실히 선을 그었기 때문이다. 박근혜 대통령 동생인 박지만 EG회장이 과거 마약 투약으로 구속된 바 있다는 점도 김 대표의 대권행보에 거대 악재가 아니라는데 방점이 찍히는 부분이다.

관건은 김 대표를 둘러싼 악재가 지속될 지 여부다. 정치권에서는 김 대표가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다음 타깃이 될 것이라는 소문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 7월 국회법 개정안 파문으로 유 원내대표를 사퇴하도록 만들었는데, 김 대표가 그 다음 차례라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정치평론가는 "김 대표 흔들기가 이번 한번으로 그칠 것 같지 않다"고 내다봤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