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국리스크' 종합대응책 만든다…연구에 각계 전문가 참여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정부가 각계 전문가 그룹이 참여하는 중국 경제 심층 연구를 통해 '중국 리스크'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25일 오전 서울 은행회관에서 주형환 1차관 주재로 중국 전문가 그룹이 참여한 가운데 중국 경제의 변화 예측과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제1차 전문가그룹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정영록 서울대 교수, 김시중 서강대 교수, 이희옥 성균관대 교수, 구기보 숭실대 교수, 강동수·김주훈 한국개발연구원(KDI) 박사, 지만수 금융연구원 박사, 정은미 산업연구원 박사, 이동현 한국은행 차장 등이 참석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최근 중국 증시와 환율 변동성 확대를 계기로 중국 경제 불안이 세계 경제 최대 리스크로 부각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도 신창타이 시대를 맞아 거시경제·금융·산업 등 경제분야 뿐 아니라 정치·사회 등 경제 외적으로도 상당한 구조 변화가 예상돼 세계 경제와 우리 경제에 영향을 줄 전망"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기재부는 그동안 관련부처와 일부 연구기관 중심으로 추진해왔던 중국 경제에 대한 심층 검토 작업을 학계와 민간연구기관 등 각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도록 확대할 계획이다. 우선, 8~9월중 전문가그룹 회의를 4~5차례 집중 개최해 경제·정치·사회 등 전반에 걸쳐 중국의 성장전략과 구조변화를 점검·예측하기로 했다. 논의 결과를 토대로 KDI와 협업해 중국의 변화를 우리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중장기적 시계에서 종합적인 경제 전략을 수립해 나갈 예정이다.

이날 1차 회의에서는 중국의 중장기 성장전략과 전망을 점검하고 논의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중국 증시 급락과 관련해 중국 경제는 여전히 6~7% 수준 성장이 가능하며, 증시 급락은 그간 과도하게 상승했던 데 따른 조정국면으로 평가했다.

그간 추이를 볼 때 중국 주식시장은 중국의 실물경제와 괴리된 모습을 보여왔으며, 개인투자자 비중이 높아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과잉 기대감 형성·조정 등에 따라 변동성을 보여왔다는 것이다.

중국의 경우 주식 자산 비중이 낮아 증시 하락에도 자산감소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며 소비 등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도 내놨다. 중국 실물경제 변동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만 중국 증시 움직임이 우리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