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의 '모바일퓨젼' 프로젝트… "스마트폰 있으면 3D 스캔 끝"

아이폰으로 곰인형을 스캔하면 자동으로 3D입체 화면으로 구현한다.(사진=MS)

아이폰으로 곰인형을 스캔하면 자동으로 3D입체 화면으로 구현한다.(사진=MS)

원본보기 아이콘


일반 스마트폰으로 3D 스캔 가능
별도 하드웨어 필요 없어 활용도에서 큰 기대
[아시아경제 안하늘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일반 스마트폰을 3D 스캐너로 바꿔주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24일(현지시간) 정보기술(IT)전문 매체 더 버지는 MS가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포착한 대상을 3D로 구현하는 기술의 데모버전을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MS의 리서치 랩은 '모바일 퓨젼(Mobile Fusion) 프로젝트'라는 이름의 동영상을 선보였다. 동영상에서는 대상을 아이폰5S의 카메라로 스캔하면 자동으로 화면에서 3D 도면으로 바꿔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S의 이 기술은 일반 카메라가 2D로 보여주는 화면을 3D로 자동으로 변환해 곧바로 3D 프린터로 대상물을 인쇄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설명했다.이는 구글의 핵심 프로젝트 중 하나인 프로젝트 '탱고'와 유사하다. 구글도 3차원 공간을 감지하는 '3D 깊이 센서'를 탑재한 모바일 플랫폼을 구축할 목적으로 지난 4일 개발자 키트를 공개한 바 있다.

하지만 MS의 모바일 퓨젼은 구글의 탱고와 다르게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 없다는 장점을 지닌다. 카메라만으로 충분히 3D 도면을 그릴 수 있어 활용도 부분에서 더 높은 점수를 줄 수 있다고 매체는 평가했다.

모바일 퓨젼은 iOS, 안드로이드, 윈도우 폰에서 구현될 것이라고 MS는 밝혔다. 출시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조만간 일반 대중들은 모바일 퓨젼을 통해 3D프린팅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안하늘 기자 ahn70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