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硏 "계좌이동제 대비 위해 은행 맞춤형서비스 개발해야"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은행이 계좌이동제를 대비하기 위해서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해 고객유지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2일 한국금융연구원은 '계좌이동제 도입 관련 주요 이슈와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계좌이동제는 주거래계좌 변경 시 신규은행이 계좌변경에 필요한 사항을 모두 처리해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올해 10월부터 금융결제원의 페이인포 사이트(www.payinfo.or.kr)를 통해 온라인 계좌이동이 가능해진다. 내년 1월부터는 은행창구를 통한 계좌이동 신청도 가능하다.

금융연구원은 현재 은행 수시입출식예금 잔액은 469조원인데, 계좌의 자동이전 서비스가 시작되면 이 중 50%가량인 234조원이 이동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를 쓴 김우진 선임 연구위원은 "개별 은행들은 계좌이동제 도입 후 고객 반응과 금융시장 동향을 관찰 후 사전에 준비해둔 시나리오별 대응전략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수수료면제와 같은 단편적인 혜택보다는 묶음상품 판매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개발하는 한편 고객의 자산관리와 자산운용 역량 제고를 통해 신규고객 확보와 기존고객 이탈방지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금융당국도 역할이 있다고 밝혔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정책당국은 경쟁기반 확대를 통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강화하고 은행의 다양성을 인정해 수수료 등 고객 차별화가 가능한 금융환경을 조성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