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석촌호수 물빠짐, 9호선·제2롯데 복합영향"

"석촌호수 물빠짐, 싱크홀 등 인근지역 安全문제와는 무관"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서울시가 석촌호수 '물빠짐 현상'의 원인이 제2롯데월드와 지하철 9호선 공사의 복합적 영향이라는 조사결과를 내놨다.

서울시는 한국농어촌공사에 의뢰한 용역조사결과 석촌호수의 수위저하에 제2롯데월드, 지하철 9호선, 인근 대형신축 건물 8곳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석촌호수의 수위저하는 2011년10월~2013년10월까지 약 2년간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이 시기 연평균 4.68m에 이르던 석촌호수의 수위는 4.17~4.57m까지 줄어들었다.

시에 따르면 제2롯데월드·지하철9호선이 수위저하의 원인으로 지목된 이유는 ▲석촌호수가 저수위를 유지하던 시기(2011~2013년) 제2롯데월드와 지하철 9호선 등의 대형공사가 진행됐다는 점 ▲동위원소 분석결과 석촌호수의 물과 양(兩) 공사장의 유출수가 유사하다는 점 ▲공사 이전과 비교해 양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각 공사장의 방향으로 물의 흐름이 변경됐다는 점 등이다.

조사결과 수위저하에 영향을 미친 정도는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수치모델링에 의한 수위변동 영향분석결과 제2롯데월드는 건설 초기인 2011년10월~2012년3월까지는 수위저하 기여율이 72%에 달했다. 이후 공사가 진척되면서 2013년10월의 기여율은 36%까지 감소했다. 반면 9호선은 2012년3월에는 36%의 기여율을 보였지만, 공사진행에 따라 2013년10월에는 53%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번 용역조사결과 인근지역에서 나타난 도로함몰·지반침하는 석촌호수 수위저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시가 일본업체와 진행한 합동 동공(洞空·빈 공간)탐사 결과에서도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시는 ▲대형 굴착공사장 유출지하수 점검을 위한 현장점검팀 운영 ▲하수도 조례 개정 ▲건축인허가 조건과 연계한 대형공사장의 지하수 계측자료 제출의무화 ▲지하수 관측망 65개소 추가 확충 등을 골자로하는 지하수 관리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김준기 시 도시안전본부장은 "석촌호수 수위저하 원인조사 결과 수위저하는 주변 대형 건축물, 공사장 지하수 유출이 직접적인 원인일 뿐 주변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앞으로는 대형 굴착 공사장의 유출지하수 관리를 철저히 해 시민 불안감을 해소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결과는 그간 석촌호수 수위저하와 제2롯데월드의 관련성이 적다는 롯데 측의 기존 주장과 배치되는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대한하천학회와 별도로 용역조사를 벌인 롯데 측은 지난 3월 송파구의회 보고를 통해 석촌호수 수위저하의 주된 원인으로 지하철 9호선과 강수량 부족 등을 지목한 바 있다.

아울러 송파구 역시 서울시립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별도의 용역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앞으로도 석촌호수 수위저하와 관련한 잡음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수위저하 원인과는 별도로 싱크홀 등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앞으로 지하수 수위 등을 철저히 모니터링 하면서 안전에 최선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