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사 하반기도 어렵다…발주 가뭄 여전"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올 상반기 국내 조선 '빅3'가 5조원에 육박하는 손실을 낸 가운데 하반기 역시 힘든 시기를 보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초대형 컨테이너선 등 에코쉽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선종에서 발주 가뭄이 여전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2일 한국수출입은행의 '2015년도 상반기 해운조선시황 및 하반기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 세계 발주량은 990만CGT로 전년 동기 대비 57.8% 감소했다. 같은 기간 발주액은 217억5000만 달러로 67.4% 줄었다. 이에 따라 국내 조선소들의 올 상반기 수주는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수주량은 5월까지 433만CGT로 25% 줄었고 수주액은 93만1000만 달러로 35.5% 감소했다. 컨테이너선과 유조선, 액화천연가스(LNG)선 등이 양호한 수주기록을 보였지만 해양플랜트와 나머지 선종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상반기 신조선 시장은 벌크선과 해양플랜트가 극심한 침체를 보이고 있으며 초대형 컨테이너선과 유조선의 발주가 전체 시장을 주도했다"고 평가했다.

하반기 역시 쉽지 않다. 벌크선 시장은 중국수요 부진 등의 영향으로 운임지수가 전년 동기 대비 50% 가까이 하락하는 등 사상 최저 수준에 이르렀다. 올해 내내 어려운 시황을 전망하는 이유다. 탱커는 전반적으로 용선료와 운임이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불안 요인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보고서는 "유조선은 운임, 용선료 모두 빠른 개선을 보이고 있지만 하반기 선박이 대량 인도되면 내년까지 일시적으로 시황이 하락할 수 있다"며 "유조선, 제품운반선 모두 하반기 발주량은 상반기 보다 소폭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형 조선산업의 주요 선종인 벌크선과 제품운반선 시장도 대규모 수요를 기대하기 어려워 중형 조선소의 수주는 하반기에도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컨테이너선 역시 운임이 약세를 보이고 있는데다 신조선 발주가 지속되면서 해운 시황 개선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고연비 친환경 선박의 수요는 양호한 흐름을 보여 하반기 초대형 컨테이너선 발주는 지속될 것으로 봤다.

올해 국내 조선사의 수주량은 전년 대비 약 24% 감소한 950만CGT, 수주액은 약 30% 감소한 230억 달러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