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플렉서블 OLED 1조500억 투자 (상보)

23일 오전 LG디스플레이 구미공장 '고객가치창조룸'에서 열린 투자양해각서 체결식에서 왼쪽부터 김익수 구미시의회의장, 심학봉 국회의원, 남유진 구미시장, LG디스플레이 CEO 한상범 사장, 김관용 경상북도지사, 김태환 국회의원, LG디스플레이 권동섭 노조위원장이 투자양해각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3일 오전 LG디스플레이 구미공장 '고객가치창조룸'에서 열린 투자양해각서 체결식에서 왼쪽부터 김익수 구미시의회의장, 심학봉 국회의원, 남유진 구미시장, LG디스플레이 CEO 한상범 사장, 김관용 경상북도지사, 김태환 국회의원, LG디스플레이 권동섭 노조위원장이 투자양해각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LG디스플레이 가 미래 신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플렉서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1조 500억원 규모의 6세대 플렉서블 OLED 신규라인(E5) 투자를 결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LG디스플레이가 투자 결정한 6세대 플렉서블 OLED(E5) 라인은 경북 구미 공장에 위치하고 있으며, 월 7500장 생산규모 (원장기판 투입기준)의 6세대 (1,500㎜×1,850㎜)규격으로 2017년 상반기중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기판 규격이 가로 세로 1,500㎜×1,850㎜ 크기의 6세대 라인은 5.5인치 제품을 생산한다고 가정할 경우 원장기판 1장에 200개 넘게 생산해 기존 4.5세대 라인(730㎜×920㎜)대비 생산효율이 4배 이상 증가한다.

LG디스플레이는 이번 투자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이날 구미공장 ‘고객가치창조룸’에서 한상범 사장을 비롯해 김관용 경상북도지사와 남유진 구미시장, 김태환 국회의원과 심학봉 국회의원이 참석한 가운데 경상북도 및 구미시와 OLED 신규 투자 및 행정지원에 관한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LG디스플레이는 2008년부터 3년간 약 3조7000억원을 투자해 IT 및 모바일용 디스플레이 생산시설 집적화에 주력했고, 2012년부터는 중소형 디스플레이 기술력 강화를 위해 2조300억원을 투입하는 등 1995년 P1 공장이 가동한 이래 구미사업장에 약 14조원 이상의 투자를 해왔다. 여기에 1조500억원의 플렉서블 OLED 신규투자로 LCD부터 OLED에 이르기까지 디스플레이 관련 전후방산업의 선순환 고리를 연결했다.

LG디스플레이는 6세대 플렉서블 OLED 투자로 미래 신시장으로 각광받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와 대화면 자동차용 디스플레이와 같은 미래 성장 시장을 공략할 발판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플렉서블 OLED는 기존 OLED에 쓰이는 유리 기판 대신 플라스틱을 사용해 휘어질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이에 플렉서블 OLED는 스마트폰, 자동차, 웨어러블 등의 디스플레이로 사용이 확대되는 추세다.

특히 LG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OLED만이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폼팩터(Form Factor) 및 디자인 혁신을 통해 모바일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제고하고, 6세대 크기의 대면적 생산 체제 구축으로 플렉서블 OLED 경쟁력 강화 및 본격적인 사업 전개의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전문 시장조사기관인 디스플레이서치(DisplaySearch)에 따르면, 플렉서블 OLED는 2015년을 기점으로 큰 폭의 증가가 예상되며, 2015년 35억달러 규모의 플렉서블 OLED는 2021년에는 48억달러로 성장해 미래 디스플레이로 확실히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