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북특사 등 남북대화 다각 검토…개성공단 고위급회담 필요성도"

[아시아경제 김동선 기자]정부는 남북관계 경색 국면을 풀기 위해 대북 특사 파견을 포함한 여러 방식을 다각적으로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정부는 개성공단과 관련해 고위급 회담의 개최 필요성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한 고위당국자는 22일 기자들과 만나 "이산가족 상봉이나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 등 남북간 대화의 의제는 물론 대화 형식에서도 여러가지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이 굉장히 경직된 상태이고 대화를 하겠다고 문은 열어놓고 있지만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서 대화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고 실질적으로 대화할 수 있을지를 놓고 고민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특히 이 당국자는 "남북한간 실질적 대화를 열어서 남북관계를 풀어나가는 것이 목표"라며 "특사 파견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그는 "옛날식으로 민간 브로커를 통한 비선 특사는 안하는 것"이라고 못박고 "공식적인 라인을 통해서 투명성 있게 진행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박근혜 정부의 임기가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남북관계 진전을 위해 정부가 다각적 해법 찾기에 나선 것이지만 북한의 호응이 관건이다. 이 당국자는 "북한에 대화를 공식 제안한 것도 있는데 북이 대답이 없다"며 "정부도 솔직히 부담은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당국간 대화 이외에 민간 차원의 대북지원 등 교류는 지속적으로 측면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고위당국자는 "정부가 나서면 북이 더 뒤로 빠지니까 민간 차원에서 최대한 (교류)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 맥락에서 이희호 여사의 방북과 관련해서도 그는 "민간이 하는 일에 당국이 끼어들면 오히려 (북한이) 반발하고 하는 게 있어서 민간이 하는 것은 되도록 민간이 주도적으로 하게 하고 (정부는) 뒤에서 지원하고 도와주는 쪽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고위당국자는 이희호 여사의 방북 때 정부의 대북메시지가 있느냐는 질문에 "(이 여사가) 가시는 것 자체가 굉장히 큰 메시지라고 본다"며 "구체적인 것은 실무 협의가 진행중에 있기 때문에 섣불리 이야기 하는 게 조심스럽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최근 1년여만에 개최됐다 결렬된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와 관련해 이 당국자는 "여의치 않아서 실무회담으로 하고 있는데 상당부분 큰 틀이 풀려야 되는 부분이 있어 고위급 회담으로 열 필요성도 있다"고 말했다.




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