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시진핑 주석과 中금융시장 혼란 논의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시진핑(習近平) 주석과 최근 주식시장 폭락을 겪은 중국 금융시장 문제를 논의했다고 10일(현지시간)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중부도시 우파에서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를 끝내고 연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푸틴은 "중국 지도부는 현 상황을 아주 차분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나는 중국 금융 시장에 큰 문제가 없다는 시 주석의 평가를 공유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여전히 세계 경제의 견인차로 남아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푸틴은 금융 위기에 처한 그리스와 관련해서는 러시아에 금융지원 요청이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의 경제적 어려움에도 러시아가 다른 나라에 금융 지원을 할 수는 있으며 실제로 일부 국가들을 지원했다"면서도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가 러시아에 금융 지원을 요청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란 핵협상이 조만간 타결되길 기대한다면서 이 협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돼 이란이 국제 원유 시장으로 돌아오더라도 주요 원유 수출국인 러시아는 이에 대한 준비가 돼 있다고 주장했다.

푸틴은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 우크라이나 정부가 동부 지역의 분리주의자들과 직접 대화할 의지를 보이지 않으면서 지난 2월 체결된 민스크 평화협정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이날 우파 회의를 끝낸 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SCO 6개국 정상들은 공동선언문에서 이란 핵협상의 성공적 마무리와 우크라이나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정상들은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승인 없이 특정 국가에 대한 압박 도구로 경제제재가 이용되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면서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서방의 러시아 제재를 비난했다.

정상들은 이밖에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글로벌 미사일 방어(MD) 시스템 확장 계획에 대해 "국제 안보에 해를 끼치고 국제 정세를 불안정하게하는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SCO 회원국들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그동안 참관국 지위에 머물렀던 인도와 파키스탄을 정식 회원국으로 받아들이는 절차를 개시하기로 합의하고 관련 문서에 서명했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