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수 이사장 "IPO, 업무 영역 넓힐수 있다는 점에서 기회"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IPO(기업공개)는 거래소 업무 영역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기회다."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2일 '한국거래소 경쟁력 강화 전략' 브리핑에서 이 같이 말하며 "전세계 선진 거래소와 지분 맞교환, 인수·합병(M&A) 등 20~30년 자본시장 성장을 위해서는 거래소의 지주사 전환과 기업공개(IPO)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IPO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통해 인수합병(M&A) 등 사업다각화를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매매 수수료에 의존하는 수익구조도 탈피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외국 거래소에 지분을 넘기는 부분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했다. 그는 "자칫 거래소 지분을 외국거래소에 넘기면 경영간섭이 들어올 수 있다"면서 "최근 해외 거래소 이사장들이 한국거래소 지분을 사겠다는 의사표시를 해오는데 팔리는 순간 사외이사 파견을 통해 경영간섭이 들어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해외거래소에 예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IPO 추진의 선결과제로 제시한 상장차익과 관련해서는 주주·학계·업계 이이야기를 수렴해 결정할 방침이다. 앞서 금융위 측은 "상장차익의 일부는 그간 독점이익이 누적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사회적 합의 없이 상장차익 전부를 기존 주주가 사적으로 향유하는 것은 곤란하다"며 상장차익의 일부를 환수할 방침을 밝혔다.

코스닥 분리와 관련해 적자 본부가 홀로서기가 가능하겠냐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 코스닥 시장의 성장세가 무섭다고 반박했다. 오히려 코스닥의 성장 잠재력에 대해 자신감을 표했다. 그는 "코스닥 적자는 지난해 거래대금(2조원) 기준이고 올해 현재까지 거래대금은 4조원 이상"이라면서 "상반기 37개사 상장했는데 목표치인 100개를 채우면 적자보전이 되리라고 본다"고 했다. 코스닥 분리 시 최대한 자본금을 출자하겠다고 밝힌 부분과 관련해선 "거래소 자산규모가 정부가액 3조 정도 되는데 전산 등 중복자산만 지주사가 가지고 나머지는 가능한 자회사에 분산하겠다"고 밝혔다.

코스닥 본사를 어디에 둘지는 향후 한국거래소 직원·부산지역 여론·금융위원회 등과의 협의를 거쳐 결정할 방침이다. 앞서 금융위원회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부산이 자본시장의 중심지라는 생각은 앞으로도 다름없다. 이런 원칙 하에서 (기관을 어디에 둘지) 관련 기관들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최경수 이사장은 "공식적으로 결정된 바는 없다"고 했다.

자회사 간 중복기능에 따른 비용 발생과 관련해선 중복기구를 최대한 없애 사회적 비용을 줄여나갈 계획이다. 예를 들어 지주회사의 경영관리, 인사, 총무 분야 등 경영지원부서의 경우 중복기능이 없도록 조정하겠다는 얘기다. IT자산의 경우 지주회사가 보유하되 자회사들과 공동 사용할 계획이다.

자회사로 떨어져 나가는 시장감시위원회 예탁결제원의 독립성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이날 김기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시장기능·예탁결제원 기능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으면 찬성하지 않는다'며 두 본부의 독립성 보장 여부에 의문을 표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이해선 시감위 위원장은 "시장감시법인은 회원제 법인으로 하고 지주회사와의 독립성을 강화할 것"이라며 "거래소와 밀접하게 관계를 맺고 지주사 테두리 내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시감법인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탁원 역시 공적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써 독립성을 보장한다고 최 이사장은 전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