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창조경제밸리에 '창업-ICT-문화 도우미' 집결

경제관계장관회의서 마스터플랜 확정
기업지원 허브 기능 강화하기로
2017년 하반기부터 300여개 기업 혜택


판교 창조경제밸리 계획도.

판교 창조경제밸리 계획도.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판교 창조경제밸리'가 창업과 정보통신기술(ICT), 문화 융합 등 창조경제 지원 기관이 집적된 '기업지원허브' 기능을 중심으로 개발된다. 17일 오전 정부는 제12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판교 창조경제밸리 마스터플랜'을 확정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3월 제6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현(現) 판교 테크노밸리 인근 도로공사 부지와 개발제한구역(GB) 용지를 활용해 국가 지정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키로 결정했다. 여기에 관계부처 합동 태스크포스(TF)와 마스터 플래너 자문단, 벤처기업협회 등의 현장 아이디어를 담아 최종계획을 마련한 것이다.

마스터플랜에 따르면 기존 판교 테크노밸리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창업과 기술 지원 기능을 통해 '혁신과 비즈니스 공간'으로 지속 발전시켜 나간다. 새로 조성하는 부지는 창업과 기술혁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창조공간'과 기업 성장단계에 맞춘 사업공간인 '성장ㆍ벤처ㆍ혁신기업공간' '글로벌ㆍ산학연 네트워크 공간' '소통교류공간'으로 개발된다.우선 정부는 판교 창조경제밸리의 선도 프로젝트를 기업지원허브로 정했다. 옛 도로공사 부지 동측 2만㎡ 부지에 연면적 9만㎡ 규모의 기업지원허브를 조성해 ICT 혁신기술과 ICT-문화 융합을 통한 아이디어 창출과 자유로운 창업의 장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기업지원허브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창업ㆍ혁신기술ㆍICT-문화 융합 등 3개 구역과 교류ㆍ지원구역으로 구성된 건물을 조성한다. 여기에 14개(예정)의 각 테마별 창조경제 지원기관 및 시설을 입주시켜 2017년 하반기부터 운영된다.

도공부지 서측 3만㎡에는 공공(LHㆍ경기도시공사)이 연면적 14만㎡ 규모의 '기업성장지원센터'를 조성해 창업ㆍ보육 이후 성장단계(창업 3~4년 이후)에 진입한 기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한다.

2017년 하반기부터 지식산업센터 4개동을 단계적으로 완공해 약 300개 성장기업에 시세 70~80% 수준의 저렴한 업무공간을 제공할 계획이다.

GB용지 동측에는 6만㎡ 규모의 '벤처 캠퍼스' 단지가 조성된다. 서측에는 8만㎡ 규모의 '혁신타운'을 조성해 기술 심사 등을 거쳐 혁신형 기업ㆍ연구소를 선별적으로 유치한다.

또 입주기업 종사자의 주거ㆍ육아 편의를 위해 행복주택 500가구를 입주기업에 우선공급(50~70%)해 사원용 기숙사로 활용한다. 주요 건물에는 입주기업 공동 직장 어린이집이 설치된다. 도공 부지 남측(1만㎡)에는 국제 교류와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시설 및 기관과 다수의 대학ㆍ학과들로 구성된 공동 캠퍼스 등이 들어서는 연면적 4만㎡ 규모의 '글로벌 비즈 센터'를 경기도가 만든다.

이 센터 인근 6만㎡ 부지에는 ICT 관련 글로벌 기업 및 유관 국내기업을 유치해 투자와 기술교류를 촉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새로 조성하는 창조경제밸리에는 300개 창업기업과 300개 성장기업이 마음껏 사업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돼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이 계속 배출될 것"이라며 "ICT 기술 테스트베드와 ICT-문화 융합센터 등 정부의 각종 지원 프로그램이 결합돼 글로벌 수준의 혁신 클러스터가 탄생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