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재무장관 회의.."한중일FTA 협상 진전시키자"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 도쿄에서 열린 제6차 한일 재무장관회의에 참석, 회의 시작에 앞서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과 악수하고 있다.(사진 제공 : 기재부)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 도쿄에서 열린 제6차 한일 재무장관회의에 참석, 회의 시작에 앞서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과 악수하고 있다.(사진 제공 : 기재부)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한국과 일본이 23일 제6차 재무장관회의를 열어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협상을 진전시키기로 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일본 도쿄 미타(三田) 공용회의소에서 만나 이같이 합의했다. 한일 재무장관 회의가 열리기는 2년6개월 만이다. 또 현 정부 출범 이후 부총리급 이상의 고위 각료가 일본을 방문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양국 부총리는 한중일 FTA·RCEP 관련 논의 외에 지이십(G20), 아세안+3(ASEAN+3) 등 주요 국제금융협력체를 통한 양국의 정책 공조를 강화하자는 데도 의견을 같이했다.

세계와 양국 경제에 대한 판단도 공유했다. 두 부총리는 "세계 경제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면서도 하방리스크가 상존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한 뒤 "성장동력의 하락이 공통적인 도전요인임을 인식하고 적절한 거시경제 정책 집행 등 공조를 지속하자"고 합의했다. 두 사람은 또 한국과 일본의 금융시장은 안정적이고 거시경제 상황도 건실하지만, 세계 경제 리스크를 흡수할 수 있는 충격완충 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거시건전성 정책과 자본이동관리 조치를 적절한 거시정책 운영 방안으로 꼽았다.

양국은 회의의 결과물로 공동 선언문을 발표했다.

최 부총리는 회의에 앞서 "정경분리의 원칙에 따라 한일간에 경제 분야는 경제 분야대로 풀어가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세종=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