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에 내장형 인식칩만 허용한다

서울시, 12일 동물복지토론회에서 밝혀

사진출처=아시아경제 DB

사진출처=아시아경제 DB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원다라 기자] 서울시가 갈수록 늘어나는 유기동물과 이로 인해 투입되는 재정을 줄이기 위해 앞으로 반려동물에게 내장형 무선식별장치만 달도록 할 계획이다. 현재는 외장형 인식 장치도 허용되지만 앞으로는 내장형 칩으로 단일화한다는 것이다

시는 12일 오후 시청 서소문별관에서 '서울동물복지계획 2020 현황과 향후 과제'를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시는 이 자리에서 유기동물을 줄이기 위해 기존에 외장형과 내장형이 모두 허용됐던 동물 등록제를 내장형으로 일원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소개했다. 동물등록을 했더라도 외장형인 경우 떼고 버려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시는 이와 함께 그동안 길고양이 관리강화 대책으로 지난해 길고양이 6351마리를 중성화 시킨데 이어 올해는 길고양이 중성화 수술을 8000건, 2020년에는 1만건까지 점차 시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서울 길고양이는 약 25만마리로 시는 길고양이가 번식할 때 내는 번식음을 줄여 시민들의 불편을 감소시키기 위해 2008년부터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TNR)을 시행해왔다. 하지만 시는 민원이 계속 증가하는 등 충분한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보고 2016년까지 길고양이 관리 개선 용역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기존 39명인 동물보호명예감시원을 1000명까지 위촉해 동물 학대 등을 예방해 나갈 계획이다. 또 천차만별이었던 동물병원 진료비 민원을 줄이기 위해 예방접종·일부 질병 진단비용을 병원 내 자율 게시하도록 했다.

시는 이밖에 동물보호센터 개선·임시가정보호제도·취약계층 반려동물 중성화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다라 기자 supermo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