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고소득 품종 낙지 자원 회복 본격 나선다

"전남해양수산과학원, 종묘 생산 착수…10월 무안·신안·진도해역 방류"

[아시아경제 노해섭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 국제갯벌연구소는 전남 갯벌연안에 서식하는 고소득 품종인 낙지의 자원 회복을 위해 올해 7만 마리의 어린 낙지를 생산, 오는 10월 무안과 신안, 진도해역에 방류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전남지역 낙지 생산량은 지난해 3천200톤으로 전국의 60%를 차지하고 있으나, 어획 강도 증가, 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2010년 생산량(4천400톤)에 비해 28%나 줄었다.

이처럼 낙지 생산량은 줄고 있으나 소비는 꾸준히 늘어 지난해 냉동낙지 수입량이 3만 9천 톤에 달했다. 이 중 중국으로부터의 수입량이 3만 2천 톤으로 전체의 81%를 차지하고 있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 대응한 자원회복 및 관리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제갯벌연구소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2013년부터 낙지 종묘 대량 생산 기술을 확립하고 지난해까지 3만 마리의 종묘를 생산해 무안, 신안, 진도해역에 방류한 결과 어획량이 늘어나는 등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방류사업에 대한 어업인의 호응도가 매우 높다.현재 국제갯벌연구소는 낙지 1천 마리를 확보해 종묘를 생산 중이며, 앞으로 600마리를 추가로 확보해 오는 10월까지 5만 마리의 어린 낙지를 생산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는 신안군과 공동으로 낙지 1천 마리를 확보해 2만 마리의 어린 낙지를 생산, 신안군 해역에 방류할 예정이다.

낙지는 많은 양의 성숙한 어미 확보가 어렵고, 산란한 알의 수가 평균 70~100개 내외로 개체 수가 적으며, 부화한 어린 낙지가 서로 잡아먹는 공식현상이 심해 종묘 생산이 까다로운 종이다.

여기에 산란에서 부화, 방류까지 6개월 이상 소요돼 인위적 환경 조성, 먹이 조절, 양성 관리 등 기술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이 수반되고 경제적인 수익성이 낮아 민간업체에서는 종묘 생산을 꺼리는 실정이다.

이인곤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장은 “낙지는 전남의 대표적인 수산물로 올해부터 종묘 생산시설을 대폭 확대해 본격적으로 종묘를 대량 생산할 계획”이라며 “특히 올해 신안군을 시작으로 연차적으로 다른 시군과 협력, 방류량을 늘려 낙지 자원 회복 및 생산량 증가로 어가 소득 증대에 기여토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노해섭 기자 nogary@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