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보선 참패 위기의 두 男子…문재인·정동영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4·29 재·보궐 선거의 최대 희생자는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정동영 전 의원이 됐다. 야권의 잠재적 대선주자로 꼽혀왔던 두 사람은 선거 참패의 정치적 책임은 물론 야권의 새로운 승리 공식을 내놔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다.

문 대표는 30일 4·29 재·보궐선거 참패와 관련해 "박근혜 정권의 경제 실패, 인사 실패, 부정부패에 대한 국민의 분노하는 민심을 제대로 대변하지 못해 참으로 송구스럽다"며 "저희의 부족함을 깊이 성찰하고 정체절명의 각오로 다시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모두가 최선을 다했지만 저희가 부족했다. 특히 제가 부족했다"며 책임을 인정했다. 이날 문 대표는 당대표 등 거취에 대한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 새정치연합은 이번 국회의원 재·보궐선거가 치러지는 4곳 모두에 후보를 냈지만 단 한 곳도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특히 패배한 선거구 가운데는 새정치연합이 우세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던 광주와 서울 관악을이 포함되어 있었다. 정 전 의원은 29일 서울 관악을 재·보궐 선거에서 패배를 확인한 직후에 "함께 해준 동지분들께 정말로 죄송하고 감사하다"며 사과했다. 그는 "이 땅의 정치를 서민과 약자를 위한 새로운 정당 건설에 동력을 이곳 관악에서 만들어보겠다는 일념이었다"면서 "기득권 정치의 벽을 깨보려고 했던 시도가 이번에 벽을 넘지 못한 것에 대해 대단히 안타깝다"고 말했다. 정 전 의원은 이번 선거에서 오신환 새누리당 당선인, 정태호 새정치연합 후보에 이어 20.2%로 3위를 차지했다. 앞서 정 의원 측은 "야권분열로 선거에 패배할 경우 꼴찌한 사람이 책임자지 야권 1등한 사람이 책임지겠냐"고 밝혔다. 유권자가 정 전 의원을 외면함에 따라 야권분열의 책임은 정 후보의 몫이 됐다. 더욱이 같은 '야당심판론'을 내걸었던 천정배 후보는 광주 서을에서 압승을 거둔 것도 뼈아픈 대목이다. 두 사람 모두 새정치연합을 탈당했지만 서로 다른 성적표를 받아들었기 때문이다.

문 대표와 정 전 의원은 이번 선거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둬 내년 총선 승리의 발판을 만들겠다는 공통의 목표를 지고 있었다.

문 대표는 28일 서울 관악구 신림동 마지막 유세를 통해 "야권표가 둘로 나눠지니까 자칫 잘못하면 야권 후보 중 아무도 당선되지 못하고 새누리당 후보에게 어부지리를 줄 수 있는 상황"이라며 "야권분열을 끝내달라"고 호소했다. 압도적인 승리를 바탕으로 더 이상 야권 분열 논란의 재연을 막아달라는 호소였다. 하지만 그의 기대는 선거결과를 통해 공염불로 확인됐다.정 전 의원 역시 이번 선거에서 승리를 거둬 국민모임 창당동력을 삼겠다는 구상이 물거품으로 돌아갔다. 대안야당을 표방했던 국민모임은 관악을 선거에서 제1야당 대선후보 경력의 정 전 의원에 정의당, 노동당 등 진보세력이 후보 단일화라는 조합을 내놨다. 사실상 국민모임이 낼 수 있는 최고의 조합을 제시했음에도 선거에 패배함에 따라 창당 구심력 확보라는 숙제를 안게 됐다.

선거 참패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된 문 대표와 정 전 의원 등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새로운 총선 전략을 내놔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