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하나로 문서 위조 다 잡는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QR코드 활용해 위·변조 확인하는 신기술 개발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날이 갈수록 정교해지는 위조 수표나 여권 등 각종 문서들을 스마트폰 QR코드앱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신기술이 개발됐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는 지난해 원전 비리, 군수 비리 등에 사용된 위조 성적서, 고액 위·변조 수표 등의 문서 위·변조 사건 발생을 막을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변조 식별 기법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기존의 아날로그 문서에 디지털암호화 기술을 적용해 보안성과 편의성을 높인 기술로, 국과수는 지난해 이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이 기술은 2중 암호화가 특징이다. 우선 문서의 주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암호코드가 QR코드로 기록되어 있고, 2차로 해당 암호를 해독하기 위한 암호키가 QR코드의 주변에 눈에 보이지 않는 점으로 인쇄돼 2중으로 보안을 강화했다.

일반적인 프린터를 이용해 출력되는 모든 문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앱으로 위·변조 확인 코드를 촬영하면 코드를 바로 해석해 위·변조 여부를 판단해 스마트폰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국과수는 이 기술을 사용하면 은행권 수표, 각종 증명서, 성적서 등에 이미 다양한 위조방지 기술이 사용돼 왔지만 내부자가 낀 정교한 변조의 경우 식별이 어려웠다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반 국민이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선 어느 정도 지식과 장비가 필요한 현실도 극복할수 있다.

이와 관련 국과수는 이날 한국조폐공사와 공동연구 및 활용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해 다양한 문서 보안 기술에 관해 공동연구 및 위조방지 기술의 고도화에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서중석 국과수 원장은 “형편없이 위?변조해도 받는 사람이 눈치 채지 못하면 성공하는 것이고, 정교하게 위·변조해도 받는 사람이 눈치 채면 성공하지 못하는 것"이라며 "받는 사람이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는 게 이 방법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